현대의 많은 사람들이 과거의 어느 때보다 훨씬 더 잦고 심각한 스트레스, 우울증, 불안 장애 등의 다양한 정신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통계가 있을 만큼, 현대 사회에서 정신 건강은 매우 중요한 이슈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현대의학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로 상담을 통해 마음 그 자체에 집중하는 치료를 주로 해 왔지만, 최근에는 몸이 마음에 미치는 영향에도 주목하여 몸을 먼저 다스리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여러 연구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뇌가 없는데도 정상적인 삶을 사는 사람들
일례로 과학계에서는 뇌가 거의 없는 사람들도 정상적인 지능과 사회적 기능을 유지하는 사례들이 다수 보고되고 있다. 1980년대 영국의 신경과학자 존 로버 박사는 뇌수종을 앓아 뇌의 95%이상이 손실된 환자들이 지능적으로 정상인 경우를 무려 30명 이상이나 발견했다. 그 중 대표적인 한 사례는 셰필드 대학의 수학과 학생으로, 뇌수종의 영향으로 뇌의 80%가 소실되어 극심한 통증을 앓으면서도 높은 학업 성취를 보일 정도로 어떠한 지능이나 인지기능의 문제도 발견되지 않았다. 이 발견은 뇌만이 생각과 감정의 중심이 아니라는 실질적인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장기와 감정의 상관관계
또 미국의 저명한 신경과학자 존 앤드류 아모어 박사는 심장에 독자적인 신경망이 존재하여 “작은 뇌” 역할을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심장은 4만 개 이상의 뉴런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감정과 직관에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원리가 종종 보고되는 장기 이식 환자들이 기증자의 성격이나 기억을 일부 공유하는 현상을 설명해준다고 보았다. 이는 장기가 단순한 신체 기관이 뿐 아니라, 뇌처럼 감정과 기억에도 관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의학의 관점: 몸이 마음을 결정한다
그런가 하면 한의학에서는 전통적으로 감정과 정신 활동이 뇌가 아닌 오장육부에서 비롯된다고 보았다. 예를 들어, 간은 분노, 심장은 기쁨, 비장은 걱정, 폐는 슬픔, 신장은 공포와 관련된 기능을 조율하기에, 누군가의 감정의 불균형에서 근거한 정신적인 문제를 치료하려면 장기의 불균형을 조절하는 방법을 가장 우선해서 사용해야 한다고 보는 것이다. 즉, 우울증 환자에게는 폐를 강화시키기 위한 운동을 권하고, 분노 조절에 어려움을 겪는 이에게는 간에 부담을 주는 음식을 피하도록 지도하는 식이다. 그리고 실제 임상에서도 이러한 접근법을 병행하면 상담이나 마음의 치료에만 집중하는 경우보다 훨씬 더 치료 효과가 빠르고 크게 나타나는 것을 쉽게 관찰할 수 있다.
몸을 다스려 마음을 치유하다
이처럼, 한의학의 ‘건강한 감정 작용은 건강한 육체에 크게 의존한다’는 주장은 예전에는 비과학으로 치부되었으나, 이제는 오히려 과학과 의학의 발달에 힘 입어 최첨단 정신의학의 한 분야를 형성하고 있다. 스트레칭이나 충분한 수면, 균형 잡힌 식단 등이 장기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호르몬 조절을 용이하게 하면, 감정 조절에 용이 해져 실제로 우울증과 불안 장애에 긍정적인 효과를 준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는 몸을 돌보는 것이 마음의 병을 치유하는 데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준다.
새로운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지금까지 현대 의학은 주로 뇌와 신경계를 중심으로 정신 질환을 이해하고 치료해 왔다. 그러나 몸과 마음은 분리된 것이 아니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마음의 병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몸과 마음을 모두 고려하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는 한의학뿐만 아니라 최근의 심신의학(psychosomatic medicine)에서도 강조되고 있는 부분이다. 문의 (703)942-8858
<
정호윤 예담한의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