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의학이 우리 몸속의 장기들을 공간적인 위치에 따라 분류할 때, 한의학은 우리 몸속의 장기들을 ‘기능’을 중심으로 분류한다. 즉, 현대의학에서 말하는 ‘폐’는 ‘가슴에 위치’한 큰 ‘두 덩어리의 장기’만을 딱 지칭하지만, 한의학에서 말하는 ‘폐’는 ‘호흡기능’에 관여하는 모든 조직들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그러니 한의학에서의 ‘폐’는 현대의학의 ‘폐’는 물론 기도, 코, 피부, 땀구멍까지 모두 포함한다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우리 몸의 조직들을 기능을 중심으로 구분하기 위해 꼭 필요한 개념이 바로 한의학에서 말하는 ‘음양과 오행’으로, 이때의 ‘음양오행’은 철학이 아닌 과학의 영역에 속한 개념이다.
무엇인가가 과하면 ‘양’이라 칭하고 부족하면 ‘음’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한의학에 사용하는 ‘음’이란 개념은 주로 우리 몸에서 무엇인가가 부족해진 ‘결핍상태’를 지칭하기 위해, ‘양’은 무엇인가가 과도한 ‘과잉상태’를 표현하기 위해 주로 사용된다. 그래서 한의학에서는 ‘휴식’이나 ‘저장’과도 같이 ‘결핍상황’과 관련한 기능들을 처리하는 장기들을 ‘음’의 장기로, ‘활동’이나 ‘소비’와 같이 ‘과잉상태’와 관련된 기능을 처리하는 장기들을 ‘양’의 장기라 분류한다.
‘오행’은 각각의 장기가 일하는 모습을 개념화한 것이다
한의학이 ‘음양’이라는 개념을 각각의 장기가 지닌 기능의 종류를 분류하기 위한 기준으로 사용하였다면, ‘오행’은 각각의 장기가 일하는 모습을 자연물에 빗대어 개념화한 것이다. 예를 들어, 우리 몸의 장기들을 에너지(기)의 흐름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면, 피가 온 몸으로 골고루 퍼지면서 열을 전달하는 모습이 꼭 ‘불이 퍼져 나가는 모양’과도 흡사하다 하여, 이러한 흐름을 만들어 내는 ‘심장’을 ‘불의 장기(화)’라 명명하는 식이다.
현대의학의 ‘내분비 이론’은 한의학의 ‘오행 이론’의 다른 이름이다
이렇게 음양과 오행을 사용해 장기들의 역할을 구분해 놓고 우리 몸을 살펴보니, 임상적으로 신장의 기능이 약해지면 심장과 관련된 질환이 더 잘 생긴다는 것을 관찰할 수가 있게 되었다.
그래서 이러한 현상을 ‘물의 기운이 약해져 불의 기능이 제어가 힘들어 지게 되었다’는 식으로 해석하고 표현하는 과정에서, ‘오행’이라는 개념을 다시 차용해 ‘상생’이니 ‘상극’이니 하는 표현을 사용해 우리 몸이 일하는 방식을 더 자세히 표현할 수 있게 되었다.
과학의 눈으로 본 음양오행의 본질
즉 사용하는 용어와 설명하는 방식은 다르지만, 한의학의 ‘음양’과 ‘오행’이라는 개념은 이미 현대의학에서도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개념과 그 본질이 같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니, 오히려 현대의학에서 교감신경/부교감신경, 호르몬을 통한 장기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개념들이 생긴 것이 매우 최근의 일(100년 안팎)임을 감안하면 이미 수천년 전부터 이러한 개념을 확립하고, 이 개념들을 오랜 시간 검증하고 실생활(의료적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해 온 한의학의 성취가 더 ‘실질적’이고 ‘정확할’ 가능성이 높다고도 볼 수 있다.
문의 (703)942-8858
<
정호윤 예담한의원 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