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워싱턴=연합뉴스) 29일 미국 백악관 외벽에 연말을 맞아 장식들이 내걸려 있다.
백악관이 내주부터 경내에서 참모와 직원들의 개인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키로 했다.
세라 허커비 샌더스 대변인은 4일 성명을 통해 "백악관 기술 시스템의 보안이 트럼프 행정부가 최우선 순위로 두고 있는 부분"이라며 "내주부터 (대통령 집무실 및 비서진 사무실이 있는) 서관에서 직원과 방문객 모두 개인기기 사용이 금지된다"고 밝혔다.
샌더스 대변인은 "직원들은 정부에서 지급된 기기들로 업무를 보며 미국민을 위해 계속 열심히 일하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조치는 존 켈리 비서실장이 보안상의 문제를 들어 주도해 온 것으로, 켈리 비서실장의 경우 지난해 10월 개인 휴대전화가 외부세력에 의해 해킹당했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해당 전화기를 폐기한 바 있다.
그러나 개인 휴대전화 사용금지 방침을 두고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이후 백악관 내부 정보가 언론 등 외부에 자꾸 유출된다고 지속해서 불만을 제기해온 것과 맞물려 '집안 단속' 차원이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됐다.
앞서 샌더스 대변인은 지난해 10월 "익명의 소식통은 정말 큰 문제"라고 공개적으로 문제를 제기한 바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도 익명의 취재원을 인용한 여러 기사에 대해 '가짜 취재원에 의한 가짜 뉴스'라고 공격해왔다.
이와 관련, 백악관 관계자는 "백악관의 무선 네트워크와 연결된 기기들이 너무 많아 개인 휴대전화는 정부가 지급한 공용 전화보다 안전하지 않다"며 이번 정책 변화가 정보 외부 유출 단속 차원과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보도했다.
그러나 직원들 사이에서는 "업무 전화기로는 문자 등을 보낼 수 없다"며 불만이 나오고 있다고 블룸버그 통신은 전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