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미수출 의존도 19%…상호관세 발효 시 전방위 충격 불가피
한국의 제조업 비중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두 번째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조업과 수출이 이끄는 경제 구조 탓에 미국 상호관세 조치가 발효되면 전방위적 산업 타격을 입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27일(한국시간) 국회예산정책처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국내총생산(GDP) 대비 제조업 비중은 27.6%로 집계됐다. OECD 회원국 평균(15.8%)을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이는 한 나라의 GDP에서 제조업의 실질 부가가치가 차지하는 비중을 뜻한다.
한국 제조업의 GDP 비중은 2015년 30.2%에서 2019∼2022년 28%대를 기록했으며 2023년에 이보다 소폭 낮아졌다.
그런데도 전통 제조업 강국인 독일(20.1%)과 일본(20.7%)도 앞질렀으며, 아일랜드(31.0%)에 이어 OECD 국가 중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아일랜드는 다국적 기업들의 생산기지로 제약 분야 등의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해 제조업 부가가치 비중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 서비스업 부가가치 비중은 2015년 59.8%에서 2023년 63.0%로 확대됐다.
예정처는 "대부분 선진국에서 서비스업 비중이 확대되는 추세인데 한국은 서비스업 성장과 동시에 제조업 비중도 일정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며 "한국은 경제 규모를 고려할 여전히 제조업 비중이 높은 국가로 평가된다"고 밝혔다.
서비스업이 성장하고 있지만 제조업은 여전히 우리 경제의 근간을 이루는 핵심 축인 것이다.
우리나라는 반도체·디스플레이·이차전지 등 첨단 제조업뿐만 아니라 자동차·조선·철강 등 전통 제조업 분야에서 국제적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한국은 제조업을 기반으로 수출 비중도 높은 편이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의 GDP 대비 총수출 비중은 44.4%다.
OECD 평균(30.0%)보다 14%포인트(p) 이상 높으며 주요 7개국(G7)보다 높다.
G7 가운데 독일이 41.8%로 가장 높았고 이어 프랑스(33.9%), 이탈리아(32.7%), 캐나다(32.4%), 영국(30.6%) 순이다. 일본은 22.8%, 미국은 10.9%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전체 수출액 가운데 미국으로 향하는 수출 비중인 대미수출 의존도는 지난해 18.8%였다.
G7과 비교해 세 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캐나다가 76.4%로 압도적으로 높았고 일본(20.0%)은 한국보다 높았다.
제조업 비중 대미수출 의존도를 고려할 때 미국의 상호관세 조치가 현실화할 경우 경제 충격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한국의 주요 수출품인 반도체, 자동차, 이차전지 등의 가격 경쟁력은 급격히 약화할 수밖에 없고 이는 곧 대미 수출 감소로 직결되고 국내 제조업 생산 위축, 기업들의 투자와 고용 축소, 경제성장률 하락으로 이어질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에 25%의 상호관세율을 설정하고 유예 시한을 8월 1일까지로 연장했다.
한국 정부는 관세 기한 전 막판 협상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번 주 미국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과 만날 예정이다.
양준석 가톨릭대 경제학과 교수는 "상호관세가 발효되면 한국 경제에 실질적인 충격이 있을 수 있다"며 "조선, 반도체 등 우리 경제 강점을 이용해 협상해야 할 것"이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