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방의회가 8일에도 연방정부 운영 정상화에 필요한 임시예산안 처리에 합의하지 못하면서 정부가 제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셧다운’ 사태가 계속되고 있다.
연방상원은 이날 공화당과 민주당이 각각 발의한 임시예산안을 본회의에 상정했으나 두 예산안 모두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을 통한 합법적인 의사진행 방해)를 무력화하며 가결하는 데 필요한 60표를 확보하지 못했다.
현재 연방정부는 의회가 지난 10월1일 시작된 2026회계연도 정부 운영에 필요한 예산안을 통과시키지 못하면서 필수 기능을 제외한 정부 업무를 중단하는 셧다운 사태가 8일째 진행되고 있다.
존 튠 공화당 상원 원내대표는 9일에도 공화당과 민주당이 각각 발의한 임시예산안을 표결에 부칠 계획이지만, 두 임시예산안 모두 부결이 거의 확실하다고 폴리티코는 관측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또 셧다운이 지속되면 연방 공무원 다수를 해고하겠다며 민주당을 압박하고 있다.
과거에 셧다운이 발생하면 필수직을 제외한 공무원은 무급 휴직 처리하고, 셧다운이 끝난 뒤 그간 못 받은 급여를 지급하는 게 관례였지만, 트럼프 행정부는 셧다운을 임기 초반 추진했으나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한 정부 구조조정을 완성할 기회를 여기는 분위기다.
트럼프 행정부에서 예산이 삭감된 국세청(IRS)의 경우 전체 인력의 약 46%에 해당하는 3만4,429명을 임시 휴직 처리한다고 이날 밝혔다고 정치매체 폴리티코가 보도했다.
공화당과 민주당의 대치 국면이 계속되면서 셧다운이 당분간 계속될 것이란 전망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