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재외공관 사칭 사기 올들어 16건?

2025-10-03 (금) 07:40:08 서한서 기자
크게 작게

▶ 한국 외교부 통계에 ‘현실과 동떨어진 자료’ 지적 미주한인 겨냥 보이스피싱 기승

미국에서 재외공관 사칭 보이스피싱 사기행각이 끊이지 않고 있지만 정작 한국 외교부의 통계에는 공관사칭 범죄 보고가 올들어 16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현실과 크게 동떨어져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2일 한국국회 김건 국민의힘 의원실이 외교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미주 지역 재외공관 사칭 보이스피싱 관련 범죄보고가 올해 1~9월 16건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이 같은 통계는 현실과 크게 동떨어진 것이다. 뉴욕총영사관 등 미국 내에서 한인을 대상으로 하는 재외공관 사칭 보이스피싱 범죄는 지난해 말부터 기승을 부리기 시작해 올해 현재까지도 끊이지 않는 상황이다.


한인들이 많이 이용하는 메신저 단체 채팅방이나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재외공관 사칭 보이스피싱 전화를 받았다며 불안을 호소하는 글들이 빈번히 게시되고 있다.
주미대사관 등 미국 내 재외공관들도 올해에만 여러 차례 보이스피싱 범죄를 주의하라는 안내글을 공지한 바 있다.

그럼에도 외교부의 이같은 통계는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재외공관 사칭 보이스피싱 범죄는 미주 한인들만 겨냥해 한국어로만 범행이 이뤄지기 때문에 미국 법집행기관의 조사 우선순위에서 밀려나 있다.

또한 한국 법집행 기관은 공관 사칭 보이스피싱 범죄가 주로 해외에서 발생한다는 이유로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입장이다. 결국 사기범들은 수사의 사각지대에 숨어 미주 한인을 겨냥한 사기 행각을 계속하고 있지만, 마땅한 대책이 없는 상황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한 한인 피해자는 “보이스피싱 전화를 받고 관할 재외공관에 연락했지만 현지 경찰에 신고하라는 답만 들었다”며 “사기범들이 한국어를 쓰고 재외국민 등 한인을 노리는만큼 한국정부 당국이 보다 적극적으로 미국 내 관련 법집행기관과 공조해 범죄 근절을 위한 노력을 했으면 한다”고 아쉬움을 표했다.

이와 관련, 외교부는 “재외공관 사칭 보이스피싱 범죄가 최근 증가함에 따라 예방과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며 “지난 3월 북미지역 해외안전 담당영사 회의에서도 대책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한 관계자는 “지난달 한국 경찰청이 제작한 재외공관 사칭 보이스피싱 피해 예방을 위한 동영상을 각 재외공관 웹사이트에 게시하는 등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서한서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