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한·미 비자문제 급한불 껐다

2025-10-02 (목) 07:05:28
크게 작게

▶ 한미‘비자 워킹그룹’ 첫 회의

▶ “B1비자 ESTA로 장비설치·보수 가능”, 한국기업 비자 전담데스크 설치 합의

한국과 미국 양국은 조지아주 한국인 노동자 집단 구금사태 재발방지책의 하나로 대미 투자를 하는 한국 기업들의 비자 문제와 관련한 소통 창구인 ‘전담데스크’를 주한미국대사관에 설치하기로 했다.

한국 외교부는 30일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양국 정부간 상용 방문 및 비자 워킹그룹 첫 회의 결과 이같이 합의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해당 전담 데스크를 “10월 중 가동할 예정이며, 상세한 내용은 미국 측이 주한미대사관 홈페이지 등을 통해 공지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날 회의 결과 양국은 한국 기업의 활동 수요에 따라 단기상용 비자인 B-1 비자로 가능한 활동을 명확히 했다.


외교부는 “미 측은 한국 기업들이 대미 투자 과정에서 수반되는 해외 구매 장비의 설치, 점검, 보수 활동을 위해 B-1 비자를 활용할 수 있다는 점과, 무비자 전자여행허가(ESTA)로도 B-1 비자 소지자와 동일한 활동이 가능하다는 것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지난 4일 조지아주 현대차그룹-LG엔솔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체포된 한국인 대다수가 ESTA 또는 B1·B2(비즈니스 목적의 단기 상용비자와 관광비자를 합친 비자)를 보유하고 있었기에, 유사한 사태가 재발하지 않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미측이 확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B-1비자 및 ESTA와 관련한 내용은 미 측이 조만간 관련 대외 창구를 통해 공지하기로 했다고 외교부는 설명했다. 외교부는 아울러 “한미 양국은 미국에 있는 한국 공관들과 미국 이민법 집행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자는 한국 측 제안에 따라, 한국 공관과 미 이민세관단속국(ICE)·관세국경보호청(CBP) 지부 간 상호 접촉선을 구축하며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한국은 한국 기업이 대미 투자를 성공적으로 완수하고 추가 대미 투자를 하기 위해 이번에 발표된 개선 조치를 넘어 근본적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이에 미국 측은 현실적 입법적 제약을 고려하면 쉽지 않은 과제라면서 앞으로 가능한 방안을 계속 검토하겠다고 답했다고 외교부는 밝혔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