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떡국의 유래
‘밥 위에 떡’이라는 속담이 있습니다. 좋은 일에 더욱 좋은 일이 겹침을 비유하는 말을 의미하는데요. 우리 조상들의 떡에 대한 애정은 남달랐습니다.
그래서 예로부터 떡은 명절이나 잔치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먹을거리였습니다. 특히 설날 아침에 먹는 하얀 떡국은 작년의 안 좋은 기억은 하얗게 잊고 새롭게 시작하자는 의미를 담은 대표적인 의례 음식입니다.
과연 설날에 떡국을 먹는 풍습은 언제부터 시작된 걸까요? 정확한 때를 가리기 어렵지만, 최남선의 ‘조선상식문답’을 보면 떡국이 상고시대의 신년 제사 때 먹던 음복 음식에서 유래된 것이라는 기록이 있습니다.
또한 떡국은 겉모양이 희다고 하여 ‘백탕(白湯)’ 또는 떡을 넣고 끓였다고 하여 ‘병탕(餠湯)’이라고 불렸으며, 나이를 더하는 떡이라 하여 ‘첨세병(添歲餠)’이라고 칭하기도 했습니다. 실제로 떡국을 먹으면 한 살 더 나이를 먹는다고 하여 옛 사람들은 나이를 물을 때 ‘병탕 몇 사발 먹었느냐’라고 묻기도 했습니다.
조선조 서울의 풍속을 기록한 ‘열양세시기(洌陽歲時記)’에 따르면 떡국이란 ‘좋은 멥쌀을 빻아 채로 곱게 친 후 안반에 놓고 자루 달린 떡메로 쳐서 길게 만든 가래떡을 엽전 모양으로 썰어 육수에 끓인 음식’이라고 합니다. 비록 노동이 요구되는 작업이지만 반복적으로 압착을 하기 때문에 쫄깃쫄깃한 식감이 뛰어나지요.
# 경상도의 꾸븐 떡국 들어보셨나요?
한국의 대표 의례 음식인 떡은 여러 상징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떡국에 쓰이는 가래떡은 장수와 번영의 의미를 담고 있는데요, 가래떡이 길게 늘어나는 만큼 이를 만든 사람도 먹는 사람도 건강하게 오래 살기를 바랐던 거죠.
이 가래떡을 둥글게 썰면 옛날 화폐인 엽전과 그 모양이 아주 흡사합니다. 이 역시 한 해 동안 넉넉한 물질적 풍요를 바라는 우리 조상들의 염원이 담겨져 있었습니다. 또한 한국인에게 떡은 단순한 음식이 아니라 ‘정을 나누고 서로의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문화’의 상징이었습니다.
떡국만큼 향토성이 짙은 음식이 또 있을까요. 바다와 접해있는 경상남도에서는 떡국에 해산물을 넣어 끓이는데요. 매생이, 굴, 새우, 조개 등이 들어가 바다 향이 짙은 것이 특징입니다. 특히 굴과 매생이는 함께 하면 칼슘과 철분이 풍부해지는 단짝 친구입니다. 영양학적 조합이 뛰어난 이 ‘매생이 굴 떡국’은 사실 경남 지역뿐만 아니라 타 지역에서도 웰빙 떡국으로 사랑받고 있습니다.
경상도의 또 다른 이색 떡국으로 ‘꾸븐 떡국’이 있습니다. ‘구운 떡국’을 경상도식으로 표현한 것인데요, 이름 그대로 생 떡이 아닌 구운 떡으로 끓인 떡국입니다. 일반 떡국보다 더욱 쫄깃하고 독특한 식감을 자랑합니다.
# 초당부두의 강원, 다슬기 넣는 충청도
다음은 강원도로 넘어가 볼까요. 강원도의 떡국에는 특산품인 초당두부가 들어갑니다. 먼저 이 초당두부를 듬뿍 넣어 둥그런 만두를 빚습니다. 만두피로 두부 소를 싸는 것이 마치 복을 싸서 먹는다는 의미가 담겨 있어 강원도 지역에서는 오래 전부터 떡국에 만두를 넣어 먹어왔습니다.
충청도의 떡국에는 다슬기가 등장합니다. 1급수에서만 자라는 다슬기는 충청도를 대표하는 식재료인데요. 다슬기 덕분에 떡국 국물이 한층 시원해집니다. 때때로 미역이 들어가기도 합니다. 아예 떡이 사라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떡 대신에 수제비를 육수에 넣은 ‘날 떡국’ 역시 충청도식 떡국 중 하나입니다.
전라도에서는 떡국에 들어가는 육수가 조금 독특합니다. 토종닭을 간장에 졸여낸 ‘닭장’으로 국물을 내기 때문인데요, 타지의 맑은 소고기 육수와는 또 다른 감칠맛을 냅니다.
제주도에서는 모자반을 넣은 시원한 ‘몸 떡국’을 즐겨 먹습니다. 모자반은 톳과 비슷한 해조류로 칼슘이 풍부한 식재료입니다.
떡국은 각 지역마다 다른 재료들을 품은 떡국은 천의 얼굴을 지닌 것 같습니다.
또한 저에게는 때때로 음식을 만들기 귀찮을 때, 미리 우려낸 육수와 떡만으로도 아이들도 좋아할 수 있는 훌륭한 한 끼를 때워줄 수 있는 소중한 요리임에는 틀림없습니다. 떡국처럼 부드럽고 따뜻한 마음이 함께 하는 올 한해 되시길 희망합니다.
<
이주용 / H-mart 차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