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월 아파트 납부율 전월 69% 비해 큰 폭 상승
▶ 연방 실업수당 등 영향…’몰아내기’부담도 작용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비상사태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한인 등 세입자들이 급증한 가운데 미 전역 아파트 테넌트들의 5월 렌트 납부율은 4월에 비해 다소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의 경제적 파급 효과가 첫 강타한 지난 4월 초에는 미국내 세입자들의 3분의 1이 렌트비를 내지 못했던 것으로 집계됐었다.
특히 LA에서는 시장의 행정명령에 따라 렌트비 납부 유예가 가능하지만, 일부 한인들은 렌트가 밀리면 나중에 부담이 너무 커질 것을 우려하거나 건물주와의 불화를 원치 않아 부담이 되더라도 렌트비를 제때 납부하기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전문가들은 이같은 상황에 대해, 재정 불안은 여전하지만 정부와 기관 및 단체들의 각종 지원금으로 어느 정도 해소됐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전국 다가구 주택 위원회(NMHC)가 전국 1,140만 아파트 세입 가구를 대상으로 5월 아파트 렌트 납부 현황을 집계한 결과, 지난 6일까지 납부한 세입자는 전체의 80.2%로 나타났다. 이는 한달 전인 4월5일의 69%, 6일의 78%보다 개선된 수치다. 또한 작년 5월 6일의 81.7%와 비교해 큰 차이가 없었다.
더그 비비 NMHC 회장은 “4월 들어 2,000만명 이상이 실직했음에도 불구하고 렌트를 낼 수 있는 세입자들이 증가하고 있다”면서 “4월 연방 정부 지원금이 도착하며 4월 렌트 납부율이 처음엔 낮았지만 뒤늦게 올랐는데, 그 영향이 5월까지 이어지고 있는 것 같다”고 풀이했다.
이 외에도 일부 전문가들은 코로나19로 실직을 한 테넌트들도 실업수당 수령시 연방 정부에서 600달러를 추가로 지급받는 등 다른 지원금들이 늘어난 영향이 있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LA는 렌트 납부 유예가 가능하지만, 꼬박꼬박 렌트를 납부하는 다른 이유들도 있다. LA에 사는 한모씨(64)는 “랜드로드와 껄끄러운 관계를 만들고 싶지도 않고, 나중에 괜히 불이익을 받을까 걱정되기 때문”이라면서 “여전히 가계 재정이 빡빡하지만, 실업수당도 받은 만큼 그냥 냈다”고 말했다. 송모씨(42)의 경우 “두 달만 밀려도 4,000달러 가까이 되는데 나중에 큰 빚이 될까봐 여력이 되는 한 내려고 한다”고 전했다.
한인 세입자들을 위해 렌트 유예 신청서를 배부하고 있는 LA한인회의 제프 이 사무국장은 “어차피 늦게라도 내야하는 돈이니 여력이 있으면 그냥 납부하시라고 권한다”면서 “LA는 렌트가 비싼 곳인 곳인데 두세 달만 밀려도 크게 불어나 나중에 감당하기 힘들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정부 지원금을 받지 못하는 주민들도 있기 때문에 이달 렌트를 아직 미납한 나머지 20%의 가구가 늦게라도 렌트를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더그 비비 NMHC 회장은 분석했다.
<
한형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