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창] 신희정 l 내 이름은 내가 지키자!
2014-03-12 (수) 12:00:00
우리나라 하면 아직도 선입견 중에 하나가 남아선호사상이 있는 나라가 아닌가 싶다. 이젠 시대도 변해 한 가정에 한 아이만 낳으니 아들 딸 선호가 없이 그냥 외동 딸, 아들에게 정성을 다하지만 아직도 아들이 이름을 지킨다는 생각에 어르신들 중에는 그래도 아들을 원하시는 분들이 있는 것 같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들이 결혼할 때를 보자. 비록 출가한 딸이라 친정 호적에서는 빠져 나왔지만 우리의 성은 계속 유지하고 있는 게 우리다. 나의 경우는 좀 다른 상황이었다. 한국에서 미국인과 결혼을 하게 되었고 미국대사관에 결혼신고를 하려고 하니 나의 성을 남편 성으로 바꿔야 한다고 했다. 결혼 서류를 접수받는 미국 대사관에서 그렇게 말을 하니 이의를 제기할 것도 없이 그냥 빠른 영주권 신청을 위해 나의 성을 남편 성으로 바꾸게 되었다. 나중에 미국에 와서 보니 사실 이곳에서는 본인의 의사로 남편의 성을 따라가든지 말든지 한다고 한다. 사실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미국인들을 살펴보면 결혼을 하면서 남편의 성을 따라간 경우가 대부분이 아닐까 싶다.
그런데 왜 우리는 성은 지키면서 정작 우리의 이름을 잃고 사는지 모르겠다. 우리는 언제나 우리가 아닌 아무개 엄마가 된다. 봉사회에서 일하면서 많은 여성들로부터 문의 전화를 받게 되는데 나이가 좀 들어보이는 목소리의 아주머니들은 그들의 이름을 밝히기를 껄끄러워 하시는 분위기를 많이 접하게 된다. 본인의 이름을 제차 여쭤어 봐야 하는 상황에만 마지못해 본인의 이름을 알려주시는 느낌을 받게 된다. 사실 나 스스로도 주변의 한국부모님들의 이름을 알고 있기보다는 누구누구의 엄마, 아빠로만 기억하는 경우가 많다. 우리 부모님한테 내가 항상 희정이이고 내 친구들에게도 난 희정이다. 우리는 누구누구의 엄마인 것도 사실이고 또한 누구누구의 부인인 것도 사실이지만 나는 나이기도 하다. 내 이름은 챈들러 엄마가 아니라 희정이다. 앞으로 누가 우리 이름을 묻는다면 누구의 엄마나 부인이 아닌 당당하게 우리의 이름을 말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