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은 2016년 미 대선 당시 여론을 조장한 혐의로 기소된 러시아 정부 연계 ‘댓글공장’(troll factory)과 관련이 있는 계정과 페이지 수백개를 삭제했다고 3일 로…
[2018-04-03]청와대는 4일(한국시간 기준) 문재인 대통령이 모색 중인 북핵 해법인 ‘포괄적·단계적 비핵화’와 관련, “북미 정상이 문제 해결의 초입부터 만나서 이야기한다는 점에서 6자회담 9…
[2018-04-03]2016년 미국 대선 기간 미 연방수사국(FBI)을 총괄 지휘한 제임스 코미(57) 전 FBI국장의 ‘입’에 큰 관심이 쏠리고 있다.코미 전 국장의 회고록 ‘더 높은 충성심 : …
[2018-04-0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라울 카스트로 쿠바 국가평의회 의장의 첫 만남이 이뤄질지 주목된다.카를로스 파레하 미국 주재 페루 대사는 오는 13∼14일(현지시간) 페루에서 열리는…
[2018-04-03]온두라스가 중미 출신 이민자들이 무리를 지어 이동하는 행렬을 뜻하는 ‘캐러밴’(Caravan)을 비판하며 적대감을 드러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을 향해 반격을 가했다.에발 디…
[2018-04-03]러시아 정부의 미국 대선 개입 스캔들에 대한 특검 수사와 관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옛 대선 캠프 관계자 중 처음으로 실형을 선고받은 인사가 나왔다.워싱턴DC 연방지방법원은 …
[2018-04-0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전직 포르노 배우인 스테파니 클리포드(예명 스토미 대니얼스)와의 성관계 여부를 둘러싼 소송을 법원 공판이 아닌 ‘사적 중재’로 진행해달라고 요청했다고…
[2018-04-0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업체인 아마존에 포문을 또 열었다.최근 들어서는 지난달 29일부터 이날까지 4번째 공격이다.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를 통…
[2018-04-0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달 들어 연일 주류언론을 향한 비난의 수위를 고조시키고 있다. 특히 오랜 ‘앙숙’인 CNN방송에 십자포화를 퍼붓고 나섰다.트럼프 대통령은 3일 트위…
[2018-04-0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연일 트위터를 통해 중미 불법 이민자들과 민주당을 공격하는 등 이민 문제 쟁점화에 주력했다.트럼프 대통령은 2일 밤 트위터에 “우스꽝스럽게 들리겠지만…
[2018-04-03]LA 한인타운 지역의 부동산 신축 및 개발붐이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한인들이 개발 관련 공청회 참석을 통해 주민 목소리를 더 많이 반영하도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2일 한…
[2018-04-03]연방 정부가 이민법 사건을 신속히 처리하기 위해 이민 판사들에게 ‘판결할당제’를 도입키로 해 논란이 되고 있다.연방 법무부가 지침으로 내린 ‘판결할당제’는 이민 판사에게 매년 일…
[2018-04-03]지난 달 23일 열린 대한민국 재향군인회 미서부지회의 제16대 회장 선거에서 김재권 후보가 신임 회장으로 선출된 가운데(본보 2월24일자 보도) 당시 선거에서 낙선한 후보 측이 …
[2018-04-03]인공지능(AI)과 로봇의 발달로 인해 미래에 사라질 직업 1위로 ‘번역가’가 꼽혔다. 살아남을 직업 1위에는 ‘연예인’이 선정됐다. 잡코리아와 알바몬은 한국에서 최근 직장인과 취…
[2018-04-03]한인들도 많이 찾는 LA 그리피스 팍에서 13세 소년이 25피트 깊이의 하수관으로 추락해 실종됐다가 13시간여 만에 극적으로 구조됐다.LA시 소방국에 따르면 지난 1일 부활절을 …
[2018-04-03]지난달 26일 북가주 멘도시노 지역 해안도로에서 일가족 8명의 목숨을 앗아간 SUV 차량 절벽 추락(본보 3월28일자 보도)은 “고의적인” 사고로 보인다고 CBS 뉴스 등이 경찰…
[2018-04-03]미국 내 한인들이 여전히 아시아계 주민들 가운데 가장 담배를 많이 피우고 술을 많이 마시는 것으로 조사돼 한인들의 건강에 적신호가 켜졌다.LA를 비롯한 캘리포니아 전역과 뉴욕시 …
[2018-04-03]평창 동계올림픽 금메달 획득 이후 더욱 큰 미국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한인 2세 스노보드 천재소녀 클로이 김 양이 지난 1일 LA 다저스 경기에 앞서 시구를 해 화제가 됐다. …
[2018-04-03]2014년부터 5년간 최악의 가뭄으로 강제절수령이 시행됐던 캘리포니아주에서 절수령 해제 이후 물 소비량이 급증해 가뭄 이전으로 되돌아 간 것으로 나타나 물 낭비에 대한 주민들의 …
[2018-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