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미국 주식시장: 장기적 관점의 힘 ①

2025-11-13 (목) 07:51:16 겐티 씨씨 CFP·CAIA 웰씨앤와이즈패밀리오피스
크게 작게
미국 주식시장: 장기적 관점의 힘 ①
미국과 글로벌 주식시장은 오랜 기간 수많은 투자자에게 성장과 수익의 기회를 제공해왔다. 그러나 많은 개인 투자자들은 이러한 잠재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고, 오히려 불필요한 손실과 스트레스를 겪곤 한다.
본 글에서는 역사적 데이터와 검증된 투자전략을 바탕으로, 수익을 극대화하면서 리스크와 감정적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한다.
역사적으로 미국 주요 기업들로 구성된 S&P 500 지수는 지난 10년, 15년, 20년, 30년 이상 동안 연평균 10% 이상의 꾸준한 장기 수익률을 기록해왔다. 아래의 수익률(CAGR) 자료는 최근 시장 성과가 이러한 장기 평균을 상회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대부분의 개인 투자자들은 시장 평균 수익률을 따라가지 못하고, 비효율적인 투자행동으로 인해 그 격차를 경험하고 있다.

대부분의 투자자는 자신이 보유한 펀드보다 낮은 수익을 올린다.
DALBAR의 QAIB 분석과 뱅가드, 모닝스타 등 주요 기관의 장기연구에 따르면, 대다수 투자자들은 자신이 투자한 펀드의 실제 수익률을 따라가지 못한다.

그 이유는 과도한 매매, 인기종목 추격, 타이밍 실패 그리고 “완벽한 매수시점”을 기다리며 현금을 방치하는 행동 때문이다. 이러한 실수는 장기적으로 연평균 약 2% 이상의 수익 손실을 유발하며, 시장 변동성이 큰 해에는 그 격차가 5~8%까지 확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2024년 S&P 500 지수가 25% 이상 상승했음에도 불구하고, 평균 투자자의 수익률은 16.5%에 그쳐 단 1년 만에 8.5%포인트의 차이를 보였다.


대부분의 손실은 급격한 시장 변동기에 발생한다. 공포는 하락장에서 매도를, 탐욕은 상승장에서 추격 매수를 유도한다. 또한 레버리지, 고위험 ETF, 잦은 거래에 대한 과도한 집착은 손실을 더욱 확대시킨다.

더 큰 문제는 손실의 연쇄효과다. 15~20% 손실 후 불안감으로 현금을 보유하게 되면 복리효과가 무너지고, 최종자산은 50~80% 이상 감소할 수 있다. 50% 손실을 만회하려면 100%의 수익이 필요하다는 점을 명심해야한다. 결국 큰 손실을 피하고 공황 속에서도 침착함을 유지하는 것이 장기적 성공의 핵심이다.
문의 (410)469-9532
(연결번호106)

<겐티 씨씨 CFP·CAIA 웰씨앤와이즈패밀리오피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