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이스라엘·하마스, 트럼프 가자 평화구상 2단계 협상 개시

2025-10-15 (수) 05:29:38
크게 작게

▶ 국제안정화군 논의…美·이스라엘, 하마스 무장해제 압박

▶ 계속 살얼음판…시신송환 둘러싼 파열음에 美 급히 개입
▶ 구호통로 개방 절차…이스라엘, 협상결렬 대비한 공격재개 준비

이스라엘·하마스, 트럼프 가자 평화구상 2단계 협상 개시

2년간의 전쟁으로 황폐해진 가자시티[로이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한 가자지구 평화구상의 2단계 협상을 시작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로이터 통신 등 외신들은 15일 소식통을 인용해 이스라엘과 하마스가 평화구상의 추가 이행을 위한 절차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그러나 1단계 합의 사항이었던 사망 인질 시신 전원 송환이 지체되면서 이 문제가 여전히 발목을 잡고 있는 데다 2단계에는 여러 난제가 얽혀 있어 협상에 난항이 예상된다.


트럼프 대통령이 제시한 가자 평화 구상은 총 20개 항목으로 구성됐다. 이 중 1단계는 이스라엘 인질-팔레스타인 수감자 맞교환 등 첫 5∼6개 항목에 불과하다.

2단계에서는 하마스 무장해제, 가자지구의 전후 통치 방식, 국제안정화군 배치 등 이견 조정이 쉽지 않은 여러 난제를 다뤄야 한다.

WSJ이 접촉한 아랍 관계자들에 따르면 중재국들은 이집트와 요르단에서 훈련받은 팔레스타인 경찰 1천명을 가자지구 안보를 위해 먼저 파견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집트와 요르단은 점진적으로 그 규모를 늘려 팔레스타인 출신의 안보 인력을 최대 1만명까지 확충한다는 계획이다.

하지만 이스라엘은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소속 인력이 가자지구 안보를 담당하는 것을 반대해왔다.

아랍 국가들도 점령군으로 비치는 것을 꺼려 국제안정화군 구성은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WSJ은 전했다.

이스라엘군의 가자지구 철수 일정도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가자 평화 구상에 따르면 이스라엘군은 단계적으로 철수한다. 인질이 석방되면 1단계 철수에 나서고 임시 국제안정화군 출범 뒤 2단계 철수, 이후 국경 지역까지 3단계로 철수하는 방식이다.

1단계 합의안이 순조롭게 이행돼야만 다음 단계로 넘어갈 수 있는데, 현재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1단계 합의 사항이었던 사망 인질 시신 전원 송환 문제를 놓고 갈등을 빚고 있다.

지난 13일 1단계 합의의 핵심인 이스라엘 생존 인질 20명 전원 석방이 이뤄졌으나 사망 인질 28명의 시신 전원 송환이 지연되면서 갈등의 불씨가 되는 것이다.

WSJ에 따르면 하마스는 지금까지 총 9구의 시신만 이스라엘에 인계했다.

하마스는 유해가 이스라엘군의 폭격 잔해 아래에 있거나 이스라엘군이 통제하는 지역에 있어 전체 시신을 수습하는 데 시간이 더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이스라엘은 하마스가 시신 송환과 관련한 합의를 위반하고 있다며 강경한 태도를 보인다.

이스라엘 카츠 이스라엘 국방장관은 이날 성명을 통해 하마스가 시신 송환과 무장해제 등 합의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다시 전투를 재개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이날 고위 군 지휘관들과의 회의에서 휴전 중단을 대비해 "하마스를 패배시키기 위한 포괄적인 계획"을 준비하도록 군에 지시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전날 기자회견에서 하마스를 향해 "무장을 해제하지 않으면 우리가 해제시킬 것"이라고 압박을 가했다.

가자지구 휴전 1단계 합의가 이뤄지는지 일주일도 안 돼 균열 조짐이 일자 미국이 개입에 나섰다.

AFP 통신에 따르면 미국 고위 보좌관은 유해 수습의 어려움을 인정하면서 미국과 다른 중재국들이 사망한 인질의 시신 위치를 찾는 데 도움을 주는 사람에게 포상금을 지급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시신 송환과 관련한 이 같은 마찰 속에서도 일단 이스라엘은 이날 구호품 반입 관문인 라파 검문소 개방 준비를 재개했다고 로이터 통신이 전했다.

이스라엘과 하마스는 1단계 합의를 하면서 이스라엘이 폐쇄했던 가자지구 구호품 반입 관문을 다시 열어주기로 한 바 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