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이재명 “야당과 많이 만날 것…개헌, 시급히 해야 하는지 의문”

2025-04-23 (수) 09:59:52
크게 작게

▶ 민주당 2차 TV 토론…김동연은 “취임하면 바로 개헌 절차 돌입”

▶ 취임후 우선순위에 李 “한미통상” 김경수 “국정자문위” 김동연 “비상경제대책위”
▶ 기본소득 공방…李 “성급하다는 건 동의, 성장에 집중하며 준비하자는 것”

이재명 “야당과 많이 만날 것…개헌, 시급히 해야 하는지 의문”

(서울=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왼쪽부터), 김동연, 김경수 대선 경선 후보가 23일 서울 여의도 오마이TV 스튜디오에서 열린 오마이TV 초청 토론회 시작에 앞서 기념 촬영하고 있다. 2025.4.23 [국회사진기자단]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에 출마한 이재명·김경수·김동연 후보는 23일(한국시간) 오마이TV가 주최한 두 번째 TV토론회에 참석해 각종 현안을 두고 공방을 벌였다.

이 후보가 독주 체제를 갖춘 가운데 지난 18일 열린 첫 번째 토론회가 다소 맥이 빠졌다는 평가를 받았던 것과 달리, 이날 토론은 각 정책 이슈와 관련한 후보들의 선명성이 비교적 잘 드러났다.

특히 대선 직후 인수위원회 없이 대통령 임기를 시작해야 하는 상황을 두고 후보들 구상의 차별점이 드러났다는 평가가 나왔다.


◇ 李 "통합 큰 과제"…김경수 "내란동거 세력과 개헌논의 안돼"

이 후보는 취임 직후 100일 동안 정치 분야에서 해야 할 일을 꼽아달라는 김동연 후보의 물음에 "국회, 그중에서도 야당과 많이 만나야 하지 않겠나"라며 "가장 큰 과제는 통합, 즉 국민 사이의 분열상을 극복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 후보는 김동연 후보가 "(취임 후) 첫 100일은 제7공화국을 준비하는 기간으로서 대단히 중요하다. 개헌을 위한 절차에 바로 돌입하겠다"고 발언한 것에는 견해를 달리 했다.

이 후보는 "개헌 문제를 그렇게 시급하게 해야 하는지 의문"이라면서 "그것이 국민의 먹고사는 문제에 직결된 것도 아니고 개정된 헌법이 즉시 시행되는 것도 아닐 텐데 여유를 두고, 우선 경제와 민생 문제에 집중해야 한다"고 했다.

이 후보는 다만 "개헌은 해야 한다"면서 "대통령 중임제(를 도입하고), 국회 권한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기본권을 강화하고, 자치 분권 강화와 5·18 정신을 헌법 전문에 싣고 결선 투표제도 도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경수 후보 역시 개헌의 필요성에는 동의했으나 대통령 임기를 단축하는 개헌을 두고는 "이런 개헌안이 확정되면 레임덕에 들어갈 우려가 있다"며 거리를 뒀다.

김경수 후보는 "개헌에는 전제 조건이 있다"며 "내란 동거 세력과는 개헌 논의에 착수하기 어렵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 경제 우선순위도 견해차…李 "추경부터 확실히, 지금도 상당 정도 준비"

경제 분야에서 취임 직후 100일간 해야 할 일의 우선순위를 놓고도 견해차가 보였다.

이 후보는 "제일 중요한 것은 한미 통상문제 협상"이라며 "(인수위가 없기 때문에) 사실 지금 단계에서도 (취임하게 되면 직후부터 해야 할 업무를) 상당 정도 준비는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민생이 너무 어려우므로 내수 진작을 위한 긴급 조치를 해야 하지 않겠나"라며 "기업의 수출 상황 등은 자체적으로 대비할 테니 힘없는 서민이 당장 살 수 있게 할 민생 추경부터 확실하게 챙겨야 하지 않을까"라고 덧붙였다.

김경수 후보는 "인수위를 대신할 국정기획자문위 같은 기구를 구성해 5개년 계획을 빨리 세워야 한다"며 "전쟁방지 대비 태세도 갖추고 관세 전쟁에 대비하기 위한 민관 협의 기구도 구성하겠다"고 했다.

김동연 후보는 "경제 분야가 가장 중요하므로 경제 '워룸'(상황실) 같은 기구를 만들고, 대통령이 주재하는 비상경제대책회의를 만들고자 한다"며 "경제 관련 회의가 가장 급한 것 아니겠나"라고 말했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상호 이익 동맹인 만큼 만나기까지는 관세 유예 조치를 연장하자'고 제안하는 게 필요하다"며 "대폭적인 추경으로 경제를 푸는 대비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 李 "남북 공존부터" 김경수 "우발 충돌 막아야" 김동연 "북미대화 지원"

남북관계 로드맵과 관련, 이 후보는 "평화롭게 공존하는 것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강력한 국방력으로 안보를 튼튼하게 한 기본 위에 대화와 협력의 기회를 늘려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당근과 채찍을 적절하게 잘 배합할 필요가 있다"며 "정부 방침의 방점을 평화에 두고 외교 협력을 제대로 하면 얼마든지 평화 체제를 다시 구축할 수 있다"고 밝혔다.

김경수 후보는 "우선 군사적으로 우발적 충돌이 절대 일어나게 하지 않는 조치부터 해야 한다"면서 "9·19 군사합의를 포함한 남북 간 군사적 신뢰를 쌓아온 합의를 복원해 나가자"고 했다.

김동연 후보 역시 9·19 군사합의 등 문재인 정부의 남북 합의를 복원할 필요성을 언급하면서 "북미 대화가 진행되도록 우리가 지원하고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이재명표 기본사회에 김경수는 동의…김동연은 "기회소득"

토론회에서는 이 후보의 핵심정책 브랜드인 기본사회를 두고도 토론이 이뤄졌다.

이 후보는 기본사회에 대한 반론이 있다며 두 후보의 의견을 물었다. 정치권에서는 이 후보가 기존 입장에 비해 기본소득에 대한 정책 비중을 줄인 것 아니냐는 평가도 내놓고 있다.

김경수 후보는 "기본사회의 방향에 동의한다"며 "빈곤 해소부터 단계적으로 풀어가야 한다"고 대답했다.

그러나 김동연 후보는 "기본사회의 취지는 충분히 이해하지만, 지금은 성급하다"며 "우리 사회의 가치를 창출하는 분들을 지원하는 기회 소득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냈다.

이에 이 후보는 "지금은 성급하다는 데 동의한다"며 "성장과 경제에 집중해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이 후보는 "그러니까 준비를 하자는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기본사회·기본소득 정책 지향은 유지할 생각임을 내비쳤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