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늘 하루 이 창 열지 않음닫기

인플레이션의 사람 차별

2022-01-27 (목)
크게 작게
“당분간 맥주하고, 마늘만 먹고 살까 봐요.” 코스코에서 장을 봤는데 그날 카트에 옮겨 담은 품목 중에 이 2가지만 겨우 ‘납득할 만한 가격표’를 달고 있었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하는 소리다. 그의 말 대로 요즘 대부분의 식품은 ‘납득이 어려운 가격표’들을 달고 있다.

“한국도 올랐지만 미국이 더하군요. 놀랐어요.” 한국에서 잠시 다니러 왔다는 사람도 말을 보탠다. 미국이 전과 달라진 것 같다고도 한다. 기름값이 오르면 유류세를 일시 낮추는 조처 등을 통해 물가에 적극 개입하는 한국과는 달리 여기는 그런 게 없다. 고기에서 감자, 주거비에서 개솔린까지 모두 올랐다.

2년 가까이 고생하다가 겨우 제 자리를 찾아 가고 있는 식당에는 미안한 말이지만 요즘은 한국식당 가기가 겁난다는 이들이 있다. 가격표를 보면 놀랄 수밖에 없다고 한다. 막상 식당은 재료비에 인건비까지 너무 올라 어렵다고들 하는데-.


미국의 인플레이션 율은 지난 40년래 가장 가파른 상승곡선을 긋고 있다.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간과되고 있는 것이 있다. 각 가정이 겪는 인플레이션 율이 다르다는 것이다. 인플레이션은 사람을 차별한다. 공평하게 작용하지 않는다.

소득에서 하위 20%로 분류되는 미국 가정은 보통 가계 수입의 15% 정도를 식품비로 지출하고 있다고 한다. 당연히 상위 20% 가정보다 식품비가 전체 소득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월등히 높다.

지난 12월의 소비자 물가지수(CPI) 상승률은 7%. 가장 최근 자료로, 1년전에 비해 동일 품목의 가격이 평균 그 정도 올랐다는 의미다. 하지만 하위 20% 가정이 경험하는 실제 인플레이션 율은 7.2%인 반면 상위 20%는 6.6%로 같지 않았다는 조사가 있다. 없는 사람이 더 어려웠다.

경제학자들이 ‘인플레이션 불평등’이라고 부르는 이런 현상은 소득계층에 따라 소비 패턴이 다르기 때문에 생겨난다. 경제가 불확실하거나 불경기일 때 호화 상품의 구매는 자제하게 된다. 하지만 식품비와 연료비 등은 아낄 수가 없다.

여유 있는 가정은 경제가 어려울 때 휴가 패키지나 신차 구매를 뒤로 미룰 수 있지만, 빠듯한 집은 인플레이션이라고 해서 생필품 구입을 미룰 수 없는 것이다. 지출 중에서 식품비와 개스비를 빼고 나면 두 그룹의 인플레이션 갭이 현저히 줄어든다는 것은 이같은 현실을 뒷받침하고 있다.

소득에 따른 인플레이션 갭은 불경기 일수록 차이가 더 커진다. 지난 2008~2009년 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인한 불경기 때 미국 최상위와 최하위 소득계층이 겪은 인플레이션 율이 1% 가까이 차이가 났다는 보고서가 있다. 이번에도 지난해 초 0.16% 정도이던 두 계층의 인플레이션 차이가 1년 후 0.6%로 늘어났다. 인플레이션 갭은 앞으로 더 벌어지리라는 전망이다.

반면 호황일 때는 그 차이가 줄고, 오히려 역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지난 2016년에는 저소득 가정이 경험한 인플레 율이 부유층 보다 0.5%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부유층과는 달리 경기가 좋다고 저소득층이 럭서리 용품을 막 사지는 않기 때문이다.

미국의 급격한 인플레이션 원인을 두고는 진단이 엇갈린다. 바이든 정부는 인플레가 세계적 현상임을 강조한다. 팬데믹으로 인한 생산 저하와 공급망 문제가 주원인이라는 입장이다. 영국과 캐나다도 30년만에 최고 소비자 물가 상승률을 기록했다고 외신은 전한다. 유로화를 사용하는 19개국의 인플레이션도 지난달 5%로 근 25년만에 가장 높았다고 한다.

반면 바이든 정부의 확장적 경제정책이 미국의 인플레를 부추겼다는 주장도 강하다. 인플레이션이 일시적 현상일 것이라는 정부 전망과는 달리 발표되는 경제 지표는 심각하다. 빈자일수록 더 실감나게 느껴지는 인플레 현상은 언제까지 이어질까. 인플레이션의 사람 차별이 원망스럽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