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맹률과 문해율
2021-06-02 (수)
강창구 / 메릴랜드
중남미 종업원들과 일을 하다보면 ‘사람은 말하기 위해 태어난 존재’라는 듯 청산유수요 ‘무쵸 하블라’(너무 말이 많다)다. 그런데 막상 이름과 전화번호를 쓰라고 하면 그것조차 쓸 줄 모르는 20대들을 부지기수로 만나게 된다. 아직도 그런 나라 그런 사람들이 세상에는 많다.
기록에 의하면, 1922년 한국은 인구 2,000만중에서 단 1%(20만명)만 교육을 받았다(동아일보 22.1.15). 문맹률 99%이다. 1930년에는 77.7%의 문맹률로 약간 개선이 된다. 같은 시기 일본의 3% 문맹률과는 확연히 비교된다.
문해율이라는 게 있다. 문자 해독률이다. 실질문맹률로 불리기도 한다. OECD에서는 회원국들의 노동생산성 연구목적으로 매년 회원국의 문자 독해력 테스트를 실시한다. 지극히 상식적이며 누구에게나 공통관심사인 ‘약 설명서’ 등에 쓰인 10줄 가량의 주의사항을 읽고 그 가운데 적힌 ‘최대 복용가능 기간’ 등을 답하는 문제다.
가장 최근 OECD 회원국 15만명을 상대로 조사한 것을 보면 한국은 16~24세에서는 3위인데 55~66세는 20위로 최하위권이다. 국민전체 문해율은 75%이다.
나이 많은 분들의 눈부신 기여(?)가 단연 돋보인다. 책을 통해서 지식과 정보를 받아들이지 않고, 누군가에 의해서 가공된 신문, 방송에만 의존한 결과라고 분석한다. 한쪽 눈으로만 바늘귀를 꿰려고 애쓰는 것과 같은 반복적 행동의 결과이다. 최근의 무분별한 카톡문화가 이를 더욱 가속화시키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그래서 오랜 숙제와 의문 하나가 조금 풀렸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이런 낮은 문해력은 누구의 잘잘못은 아니지만 세대갈등이 되고, 정치발전의 커다란 장애가 되고 있다. 문재인 정권을 독재정권이라고 하는데 그런 말이 통할만한 충분한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언론 탓으로만 돌릴 문제가 아니었다.
1년 남은 한국대선을 앞두고 출문망자(出門望者)들이 요란하다. 속설이 있다. 명색이 한국 최고대학 출신이 한국에서 대통령되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 그것이다. 왜 그러는 지를 그들만 모른다. 문맹률 50%여도 처지에 맞게 살면 된다. 식자우환이다. 어설피 아는 게 나라와 민족에 독이 되고 있는 현실에서 이름도 쓸 줄 모르는 사람들에게 오히려 부끄럽다.
<
강창구 / 메릴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