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여성의 창] 세월호 참사 2주기를 맞으며…

2016-05-03 (화) 03:21:07 남미숙(교사)
크게 작게
지난 토요일 4월 16일 아침, 전화기에 적혀 있는 416이란 숫자와 함께 내 가슴은 쿵하고 가라앉는다. 2년전 바로 이날 한국 뉴스를 보며 안타까워, 서서히 가라앉는 아이들이 안쓰러워 엉엉 울던 그 트라우마가 다시 되살아 오는 듯하다. 마치 내 자식이 그 세월호에 갇혀 있는 것 같아 부들부들 떨던 때가 어제 일 같은데 벌써 2년이란 시간이 흘렀다.

지난 2년 동안 세월호는, 진상규명은, 세월호 인양은, 도대체 어떻게 돼가고 있는 것일까. 가라앉은 세월호마냥 모든 의문들은 그렇게 갇혀진 채로 가라앉는 건 아닐까, 답답하기만 하다.

이날 오후 먹먹한 가슴으로 세월호 피해자의 이야기를 담은 ‘나쁜 나라’라는 다큐멘타리 영화를 보러 갔다. 2시간 짜리 영화에 1시간동안은 울다 나온 것 같다. 자식 잃은 부모 마음에 동화되어 울었고 그런 부모들에게 죽은 자식 시체 팔아 돈 뜯어 먹는다며 교통사고 같은 사건을 가지고 왜 정부에게 따지냐고 손가락질하는 하는 사람들의 상식밖의 태도를 보고 분노하며 또 울었다. 도대체 어떻게 된 것일까. 순간 정체성에 대한 혼란이 오는 듯했다.


2012년 겨울 미국 동부에 있는 샌디훅 초등학교에서 총기 난사 사건이 일어나 어린 학생들과 선생님들 약 20명이 어이없이 죽게 된 사건이 있었다. 결국 정신이상이 있는 한 남자의 범행으로 사건이 종결났지만 피해자 부모들은 가만히 있지 않았다. 시정부와 시 교육구를 상대로 불충분한 학교 안전 정책에 관해 고소를 했고 여러 시민 인권단체들이 일어나 총기 규제 강화를 법안에 상정하는 등 함께 대책마련에 힘썼다. 헌데, 그 어느 국민도 그 피해자들을 비난하지 않았다. 그 어느 누구도 정신병이 있는 사람이 한 일을 가지고 왜 정부에게 따지느냐는 둥, 자식 시체 팔아 정치하고 돈번다는 비난의 화살을 던지지 않았다. 참 대조적인 일이다. 그리고 참 창피한 일이다.

잠시 하던 일을 멈추고 우리 자신을 뒤돌아보자. 바쁘게 변화되는 시간속에 가장 중요한 인간에 대한 존중을 잊고 사는건 아닌지 되물어 보아야 할 것이다. 어쩜 우린 인간에 대한 예의와 상식을 지키려는 자신에게 “가만히 있으라”라고 지시하며 마음 깊은 곳으로 침몰시키는 건 아닐까 생각해본다.

======남미숙씨는 허큘레스시 Ohlone Elementary School 5학년 교사로. 북가주 ‘공감’ 회원으로 활동하며 세월호와 위안부 문제 바로알기 운동에 동참하고 있다.

<남미숙(교사)>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