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적과의 동침?…오픈AI “챗GPT 운영에 구글 클라우드 사용”

2025-07-16 (수) 05:05:55
크게 작게

▶ 콜롬비아·남아공 등 12개국 성명…관련 회의엔 중국 등 30개국 참석

적과의 동침?…오픈AI “챗GPT 운영에 구글 클라우드 사용”

구글 로고[로이터]

오픈AI는 자사의 인공지능(AI) 챗봇 챗GPT를 운영하는데 구글 클라우드 인프라를 사용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오픈AI는 구글을 신규 공급업체로 추가하며, 챗GPT와 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가 구글 클라우드 플랫폼을 포함해 마이크로소프트(MS), 코어위브, 오라클의 클라우드 인프라를 함께 사용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MS는 오픈AI의 최대 협력사이며, 오라클은 지난해 MS 및 오픈AI와 협력을 발표하고 오픈AI에 더 많은 컴퓨팅 리소스를 제공하기 위해 MS 클라우드인 애저 AI 플랫폼을 오라클 클라우드 인프라로 확장한다고 밝힌 바 있다.


또 지난 3월 오픈AI는 코어위브와 약 120억 달러 규모의 5년 계약을 체결하며 클라우드 용량을 확보했다.

오픈AI가 사용할 구글 인프라 운영 지역은 미국을 비롯해 일본, 네덜란드, 노르웨이, 영국 등이다.

이번 결정은 오픈AI가 기존 MS 클라우드에 전적으로 의존했던 구조에서 벗어나 수요 증가에 따른 컴퓨팅 파워 확보를 위한 전략적 조치로 풀이된다.

오픈AI와 MS는 그동안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해 왔으나, 최근에는 양사 모두 개발자용 AI 툴을 판매하고 기업 대상 구독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상호 경쟁 구도로 가고 있다.

오픈AI와 MS는 올해 1월 오픈AI가 추가 클라우드 리소스를 필요로 하는 경우 MS에 우선 협상권이 있지만, 독점 공급은 포기하기로 합의한 바 있다.

오픈AI 최고경영자 샘 올트먼은 지난 4월 컴퓨팅 용량 부족 문제를 호소하며 "그래픽처리장치(GPU) 용량 10만 개 단위로 지금 당장 제공 가능한 사람 있으면 연락 바란다"라는 글을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리기도 했다.

특히, 오픈AI의 구글 클라우드 사용은 구글의 경우 오픈AI의 최대 경쟁사라는 점에서 관심을 끌고 있다.


오픈AI는 2022년 11월 챗GPT를 출시하며 당시 AI 분야에서 가장 앞서 있다는 구글을 제치는가 하면 잇따라 AI 모델을 출시하며 구글과 경쟁하고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챗GPT 검색 엔진을 출시하며, 전 세계 90%의 검색 시장을 장악하고 있는 구글 아성에 도전하고 있고, 최근에는 구글 크롬과 같은 웹브라우저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져 구글을 긴장시키고 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