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美 “엔비디아 H20칩 판매, 中과 희토류 협상서 카드로 사용”

2025-07-15 (화) 01:03:25
크게 작게

▶ 상무장관 “구형 칩이라 괜찮아…中이 美기술에 중독되게 해야”

▶ 상무장관 “韓中日, 철강기업에 전력 사실상 무료 제공” 또 주장

美 “엔비디아 H20칩 판매, 中과 희토류 협상서 카드로 사용”

베선트 재무장관과 러트닉 상무장관[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엔비디아의 인공지능(AI) 반도체인 H20 칩의 중국 수출을 허가하기로 한 배경에는 지난달 중국과 합의한 대미 희토류 수출통제 해제가 있다고 행정부 고위당국자들이 밝혔다.

하워드 러트닉 상무부 장관은 15일 CNBC 인터뷰에서 H20 칩 수출을 허가한 이유에 대해 "바이든 행정부는 작년에 중국에 이런 칩 구매를 허용했다. 그러고 나서 우리가 막았고, 이후 중국과 (희토류) 자석 합의를 하면서 우리는 중국에 칩을 다시 팔기 시작하겠다고 말했다"고 설명했다.

러트닉 장관이 언급한 자석 합의는 미중 양국이 지난 6월 영국 런던에서 열린 2차 무역 협상에서 중국의 대미 희토류 수출통제와 미국의 대중국 수출통제 일부의 해제를 맞교환하기로 한 합의를 의미한다.


러트닉 장관의 설명대로라면 미국은 중국이 희토류 자석의 대미 수출을 재개하는 조건으로 엔비디아 H20 칩의 중국 수출을 허용하기로 한 것이다.

러트닉 장관은 "이건(H20) 오래된 칩이라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바이든은 중국에 판매할 수 있게 했고, 우리는 그 결정을 재고했다. 하지만 이제 엔비디아가 가장 최신형 칩을 내놓았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서 엔비디아가 최신형 칩인 블랙웰을 개발했고, H200과 H100 칩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에 중국 판매를 허용한 H20 칩은 성능 기준으로 네 번째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중국에 최고의 제품을 팔지 않는다. 두 번째나 세 번째로 좋은 제품도 팔지 않는다. 난 네 번째로 좋은 제품을 파는 것은 우리가 괜찮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러트닉 장관은 미국은 중국이 자체적으로 개발할 수 있는 AI 반도체보다 "한 단계" 앞선 반도체를 개발하고, 그보다 낮은 사양은 중국이 계속 사도록 한다는 게 트럼프 대통령의 생각이라면서 "중국의 개발자들이 미국 기술에 중독되도록 하는데 충분한 만큼을 팔고 싶다"고 말했다.

앞서 엔비디아는 전임 바이든 행정부에서 중국의 AI 기술 발전을 견제하기 위해 엔비디아의 고사양 AI 반도체 수출을 제한하자 이보다 성능이 낮은 H20 칩을 제작해 중국에 수출해왔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 4월 중순 엔비디아가 H20 칩을 중국에 수출할 때 정부 허가를 받도록 수출을 통제했다.


이어 미국은 H20 칩 수출통제를 지난 5월 스위스 제네바와 지난 6월 런던에서 열린 중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협상력을 강화하는 데 활용했다고 당시 협상을 이끈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이 공개했다.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이날 블룸버그TV 인터뷰에서 "그건 우리가 제네바와 런던에서 활용한 협상 카드라고 할 수 있겠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 협상에서 H20 수출통제를 논의했다면서 "중국은 우리가 원하는 것들을 갖고 있었고, 우리는 중국이 원하는 것들을 갖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한편 러트닉 장관은 이날 인터뷰에서 미국이 철강 관세를 부과한 이유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한국이 저렴한 전기요금으로 철강사를 보조한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러트닉 장관은 "중국, 일본, 한국은 자국 철강기업에 전력을 무료로 또는 사실상 무료로 준다. 그러고 나서 그들은 우리한테 철강을 덤핑하고 우리 국내 철강기업들을 망하게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미국 철강사들이 오랫동안 주장해온 내용이지만 한국 정부와 철강사는 사실과 다르다는 입장이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