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미, 수입 의약품에 최대 200% 관세 예고 ‘파장’

2025-07-15 (화) 12:00:00
크게 작게

▶ 소비자들은 약값 인상
▶ 업계 대응책 마련 고심

▶ 현지 생산 비중 확대
▶ 1년 반 유예기간 활용

미, 수입 의약품에 최대 200% 관세 예고 ‘파장’

트럼프 행정부의 수입 의약품 관세 부과는 미국 내 약값 인상으로 이어진다. [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에 대해 최대 200%의 초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히자 한국 등 전 세계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대응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의약품에 대해 고율 관세를 부과에 앞서 최대 1년 6개월의 유예기간을 주겠다고 밝히면서 기업들은 미국 기업 인수 등을 통해 점진적으로 현지 생산 비중을 늘리는 방안 등 대응책을 구체화하는 모습이다.

일부 제약바이오 업체는 미국 내 의약품 가격 인상을 초래할 수 있는 초고율 관세 부과가 현실화하기 어려울 수 있다며 당국 간 협상을 통해 타협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에 대해 최대 1년 6개월의 유예기간을 두고 200%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지난주 예고했다.

바이오업계 맏형 격인 셀트리온은 이와 관련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전략을 기간별로 준비했다며 현지 기업 인수 가능성 등을 소개했다. 이 회사는 9일 주주 서한을 통해 단기 전략으로는 “2년분의 재고 보유를 완료했고 향후 상시 2년분의 재고를 보유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중기 전략으로는 미국 판매 제품을 미국 현지에서 생산할 수 있도록 현지 CMO(위탁생산) 파트너와 계약을 완료했다고 전했다. 장기 전략으로는 미국 생산시설 보유 회사의 인수를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고율 관세 부과 전 외국에 있는 제약사들이 미국으로 생산시설을 이전하는 데 필요한 시간을 1년에서 1년 반 정도 제공하겠다는 의사를 내비친 만큼 해당 기간 현지 생산 비중을 늘려나가겠다는 전략으로 받아들여진다.

SK바이오팜도 “미국 내 FDA 승인을 받은 생산 파트너를 확보하고 있어 관세가 확정될 경우 미국 생산으로 전환도 가능하다”고 전했다.

SK바이오팜의 뇌전증 치료제 ‘세노바메이트’는 캐나다 소재 위탁생산(CMO) 업체 등을 통해 미국에 수출된다. 자체 공장을 운영하는 것이 아니라 위탁생산을 이용하는 만큼 향후 캐나다 등에 대한 관세 부과가 확정되면 미국 현지 CMO 업체를 이용하는 등 조치를 검토하겠다는 설명이다.

일부 국내 제약바이오 업체는 트럼프 대통령 관세 관련 발언이 수시로 바뀌는 만큼 이달 말쯤 관세율과 유예기간 등이 확정된 후 대책을 내놓겠다며 신중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의약품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는 미국 내 의약품 가격 인상을 초래해 트럼프 행정부에 대한 미국민의 반발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적절한 타협안이 마련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미국 정부의 발표 내용을 면밀히 분석하고 있으며 내부적으로도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면서도 구체적인 대책은 공개하지 않았다.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기업 삼성바이오에피스도 “관세 진행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신중한 반응을 내놨다.

녹십자는 관세 부과에 대해 “즉시 시행이 아니고 추후 확정 여부도 불투명해 단기 리스크를 제한적으로 보고 있다”며 “미국용 재고 확보를 단기적으로 해둔 상태”라고 전했다.

한미약품은 예의주시하면서 어떤 영향이 있을지 면밀히 알아보고 대응하고 있다고 답했고, 대웅제약과 에스티팜도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며 면밀하게 대응할 것이라는 입장을 전했다. 업계는 당국이 한미 간 우호 관계 유지와 고품질 한국 의약품의 미국 내 물가 안정 기여 등을 제시하며 절충안을 도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연합>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