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관 협착증은 척추 신경이 지나가는 통로가 좁아져 신경을 압박하는 질환이다. 특히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하며, 허리 통증과 다리 저림을 유발한다. 단순한 노화의 일부로 여기기 쉽지만, 증상이 심해지면 일상생활에 큰 불편을 준다.
■왜 다리가 아플까?척추관 협착증은 척추의 뼈와 인대가 두꺼워지면서 신경을 압박하는 것이 원인이다. 압박된 신경은 혈류 공급이 줄어들고 염증이 생기면서 통증을 일으킨다. 대표적인 증상은 ‘신경인성 파행’이다. 걸을 때 다리가 저리고 아파서 자주 쉬어야 하지만, 잠시 앉아서 쉬면 증상이 완화된다. 하지만 다시 걸으면 통증이 재발하는 특징을 보인다.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장시간 서 있을 때도 통증이 심해질 수 있다.
■위험 요인과 원인척추관 협착증은 주로 나이가 들면서 발생한다. 디스크가 퇴행하거나, 관절염으로 인해 척추관 주변 조직이 두꺼워지면서 신경이 압박된다. 과거 척추 부상, 선천적 척추 구조 이상, 비만 등도 위험 요인으로 꼽힌다.
■치료법▲비수술적 치료초기 단계에서는 약물치료, 물리치료, 신경차단술(주사요법)로 통증을 완화할 수 있다. 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과 스트레칭도 증상 완화에 도움이 된다.
▲수술적 치료증상이 심하거나 보행이 어려울 정도라면 수술이 필요할 수 있다. 대표적인 수술로는 ‘감압술’과 ‘척추유합술’이 있다. 감압술은 신경 압박 부위를 넓히는 수술이고, 유합술은 불안정한 척추를 고정해 안정성을 높인다.
■최신 치료 동향최근에는 ‘미세 침습 수술(MIS)’이 주목받고 있다. 절개 부위가 작고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다. 또한 인공 디스크나 척추 스페이서를 이용한 신기술도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생활 속 관리법허리를 굽히는 자세 활용:
척추관 협착증 환자는 허리를 구부리는 자세에서 통증이 완화되는 경향이 있다. 카트나 지팡이를 이용해 걷거나, 자전거 타기 같은 활동이 도움될 수 있다.
▲체중 관리과체중은 척추에 부담을 주기 때문에 체중 감량이 증상 완화에 효과적이다.
▲운동과 스트레칭허리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과 유연성 향상을 위한 스트레칭이 중요하다. 수영, 요가, 걷기 같은 저강도 운동이 추천된다.
▲영양 관리비타민 D와 칼슘 섭취는 뼈 건강 유지에 필수적이다. 특히 골다공증이 있는 환자는 뼈 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결론척추관 협착증은 나이가 들면서 흔히 발생하는 질환이지만, 증상을 방치하면 심각한 통증과 움직임 제한을 유발할 수 있다. 다리 저림과 허리 통증이 반복되면 ‘늙어서 그렇다’는 생각을 버리고 적극적으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최신 치료법과 생활습관 관리를 통해 통증을 줄이고, 활동성을 되찾을 수 있다. 척추 건강은 삶의 질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다.
▲바른 병원 원장
▲전화: (213)985-7777
▲이메일: leader0307@gmail.com
<
임대순 통증전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