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SJ “아시아 국가들, 지역 안보 관련 美 약속 깨질까 우려”

트럼프·푸틴 가면 쓰고 두 정상 비판하는 독일 활동가 시위 [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우크라이나 없는'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 방안 협상에 아시아권의 미 동맹국이 '향후 우리도 미국 지지를 받지 못할 수 있다'는 취지의 불안감을 보인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3일 보도했다.
재집권에 성공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2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의 통화 이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미·러 당국자 간 종전 협상을 벌이면서,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을 위한 전략적 변화를 암시했다.
우크라이나뿐만 아니라 전쟁 위협의 직·간접적 당사자로 볼 수 있는 유럽 국가들까지 배제한 것인데, 이를 바라보는 아시아의 미 동맹국에서도 지역 안보에 대한 미국과의 약속이 깨질 수 있다는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고 WSJ은 짚었다.
특히 한국에서는 미국의 대(對)러시아 정책 변화 움직임이 북한에 대한 미국의 접근 방식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감을 제기하고 있다고 WSJ은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및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개인적 친분을 강조하는데, 국제사회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때처럼 김정은 위원장과 직접 대화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한국은 한미동맹에 기반한 미국의 방어 공약이나 향후 잠재적 군축과 연관될 수 있는 대화 과정에 계속 한 축을 맡기를 원하지만, 일각에선 '서울 패싱' 가능성을 언급하기도 한다.
아울러 한국의 방위비(주한미군 주둔비용) 분담금 재협상과 주한미군 규모 조정 등 역시 트럼프 집권 내내 부상할 수 있는 화두로 꼽힌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기간 한국을 '머니 머신'(money machine)으로 부르며 분담금을 2026년 적용될 금액의 9배 수준인 100억 달러로 증액해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주한미군 병력 규모 축소가 현실이 되면, 한국 내에서는 자체 핵무장 요구 목소리가 높아질 수 있다고 WSJ은 전망했다.
WSJ은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한반도 안보 상황에 대한 미국의 약속에 "의심할 여지는 없다"고 확언하면서 "우리는 북한 및 역내 다른 지역 안보 위협에 대처하기 위해, 상상할 수 있는 모든 시나리오에 완전히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대만과 필리핀 등 미국과 긴밀한 안보 협력 체계를 구축해 온 아시아 지역의 다른 나라 역시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미국 싱크탱크 브루킹스 연구소의 린 쿠옥 연구원은 "트럼프가 궁극적으로는 중국과 경제 분야 합의를 원할 수 있다"면서 우크라이나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입장 변화는 미국 동맹국엔 자국의 상황에 대해 재고하도록 하는 사유를 제공한다고 강조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