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금융종사자 절반이상 조사
▶ 연내 인하 전망 불과 2%
세계 금융권 종사자 대상 설문조사에서 연방준비제도(FRB·연준)의 기준금리 인하는 내년에나 있을 전망이며 주요 동기는 금융시장 불안 때문일 것이라는 견해가 다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블룸버그통신 조사서비스 ‘MLIV 펄스 서베이’가 14∼18일 금융권 종사자 등 자사 단말기·뉴스 구독자 6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금융시장의 무질서한 약세’를 첫 기준금리 인하의 주요 동기로 꼽은 응답자가 과반(55%)이었다.
이는 노동시장에 대한 우려(28%)나 물가상승률의 과도한 하락 우려(17%)를 합친 것보다 많은 답변이다.
또 연준이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잡았다는 견해(33%)보다 아니라고 보는 견해(667%)가 많았다. 향후 12개월간 경제권별 침체 가능성에 대한 전망은 유로존(79%), 미국(50%), 전 세계(47%), 일본(27%) 순이었다.
연준이 연내 기준금리 인하에 나설 것으로 보는 견해는 2%에 그쳤고, 내년 1∼3분기가 76%, 내년 4분기 이후가 21%였다. 미국 장단기(2년·10년물) 국채 금리 역전이 해소되는 시점 역시 연내(4%)보다는 내년 1∼3분기로 보는 전망(64%)이 많았고, 내년 4분기 이후는 32%였다.
응답자들은 향후 5년간 금리·인플레이션이 코로나19 이전보다 하락(21%)하기보다는 더 높을 것(79%)으로 봤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잭슨홀 회의에서 ‘매파(통화긴축 선호)적 금리 동결’ 입장을 강화할 것으로 보는 견해(82%)가 대다수였다.
블룸버그는 인플레이션이 1년 전보다 완화됐고 연착륙에 대한 기대가 나오지만, 더 높은 금리가 더 오랫동안 이어질 것이라는 시장 전망이 주식·채권 가격을 누르는 요인이라고 해석했다. 싱크탱크 브루킹스연구소의 잔 마리아 밀레시-페레티 선임연구원은 “시장에서 더 높은 금리가 더 오래 갈 것으로 볼 경우 미래의 이익을 더 많이 할인할 것이고 주가도 조정될 것”이라면서 “채무 비용 증가로 벼랑에 몰리는 기업이 많아질 수 있다”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