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한국과 미국이 역사성을 지닌 뜻 있는 해다. 한미동맹 70년을 맞아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 국빈 방문을 했다.
1954년 이승만 대통령의 미 의회 연설과 2023년의 윤석열 대통령 연설의 키워드는 ‘자유’였다. 자유란 쉽게 얻어지는 상품이 아니다. 자유에는 피를 먹고 자라는 섬뜩함이 있고, 자유란 얻는 것보다 지키는 것이 어렵다. 끊임없는 도전을 받기 때문이다.
21세기는 ‘외교(外交)’로 빛나는 시대다. 외교가 전략이라면 국격(國格)에 걸맞은 외교활동은 지도자의 몫이다. 대한민국은 1940년대 열악한 국제환경을 딛고 건국한 나라다. 독립에서 건국에 이르는 건국지도자 이승만 외교는 국제환경에 걸맞은 ‘전략외교’로 점철되어 있다.
“외교정책(外交政策)에서 가장 우선시할 것은 생존(生存)과 국가안보(國家安保)다…대표적인 수단이 동맹(同盟)이다!” 신현실주의(New-realism) 이론가인 국제 정치학자인 케네스 월츠 박사의 주장이다.
우리 국민 대다수는 대한민국의 건국을 잘 모르고 있다. 건국이야기에는 관심이 없다. 이승만 박사는 왕의 나라를 백성에게 돌려준 공(功)이 있다. 더 소중한 일은 그가 공산주의의 대척점에서 자유를 신봉하며 ‘자유민주주의 뿌리’로 각인되었다는 점이다.
1954년 미국의 국빈 방문(State Visit) 때 워싱턴에 도착한 이승만 대통령이 워싱턴 정치인들을 향하여 ‘워싱턴 겁쟁이들(Cold feet)’이라며 일갈(一喝)했다. 자유(Freedom)가 인류의 보편적 가치임을 역설한 것이다.
이승만 외교의 분수령은 무엇보다 대륙문명권에서 해양문명권으로의 변화였다. 문명사적인 대전환은 우리에게 역사적인 사건이었고 동맹문화라는 새로운 지평(地平)을 열어줬다는 사실이다.
이승만의 대미외교는 ‘대등한 외교’가 축(軸)을 이뤘으며, ‘한미동맹’의 주역은 이승만이었다. 약소국이라는 약점을 딛고 미국 측을 설득하며, 움츠러들거나 물러섬 없이 담대한 전략으로 한미상호방위조약을 성사시켰다.
1954년 7월 28일 오후 5시 이승만 대통령이 의회 연설에 나서자 조셉 마틴 주니어 하원의장이 이승만 대통령을 소개했다. “미국 국민들이 진심으로 존경하는 ‘자유를 위한 불굴의 투쟁가’를 여러분에게 소개하게 된 것을 무한한 영광으로 생각한다”고.
이승만 대통령은 6·25전쟁 때 함께 싸운 미국에 대한 고마움을 잊지 않았다. 워싱턴 의회 연설에서는 미국의 어머니들에게 위로의 메시지를 전하고, 한미인사들이 함께 한 뉴욕 월도프 아스토리아 호텔 행사에서는 이 대통령의 눈물로 숙연한 분위기였다고 한다.
1954년 7월 28일 미 상하원 양원 합동회의장에서 연설하는 이승만 건국대통령. 기립박수를 포함 모두 33회의 박수를 받았다.
윤석열 정부에 들어서면서 이승만 지우기가 멈췄다. 과거에는 좌편향된 교육에다 정권의 무관심으로 이승만 지우기는 끝 간 데가 없었다. 국민들은 권력 이동과 더불어 ‘기울어진 운동장’처럼 국론분열의 심각함을 체감하고 있다. 한미동맹 70주년을 맞아 자유민주주의 뿌리인 이승만 현상이다.
<
황일봉/이승만건국대통령기념사업회 미주총회 사무총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