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he New Woman Behind The Camera 워싱턴 D.C. 내셔널 갤러리

➊ Kati Horma 1938 ➋ Nin Weiyu 1956 ➌ Homai Vyarawalla 1940 ➍ Dorothea Lange 1936 ➎ Lora Alvarez Bravo 1950

ringl+pit 1931, Annemarie Heinrich 1938, Toshiko Okanoue 1954
안드레아 넬슨이 큐레이팅한 이 전시는 아방가르드 실험, 스튜디오 초상화, 패션 및 광고, 예술적 실험, 거리 사진, 민족지학 및 포토저널리즘에서 여성 사진가의 혁신적인 작업을 강조했다. ‘New Woman’의 세계적 현상에서 영감을 받은 전시는 사진의 역사를 재평가하고 여성 사진가의 기여에 새로운 인식을 갖게 한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여성들은 사진 분야에 적극적으로 진입했다. 대중 통신의 발전으로 여성에 대한 교육 및 수용의 접근성이 높아져 전 세계 여성들은 매체의 성장과 다각화에 큰 흔적을 남겼다.
1920년대의 신여성은 삶과 예술에 혁명적인 변화를 주는 역할이었다. 카메라는 여성 사진가들이 자기 결정을 주장하고 자신의 위치를 재정의하는 강력한 수단이었다.
상업 스튜디오 사진은 여성들이 전문적인 경력을 쌓고 자신의 수입을 얻는 중요한 경로였다.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베를린과 이스탄불에 이르는 도시에서 성공적인 사업을 운영하면서 초상화 장르에 활기를 더했다.
더 작고 가벼운 카메라의 가용성으로 여성 사진가들이 스튜디오 벽 너머의 도시 경험을 탐구했다. 그들의 창의적인 비전으로 전 세계 다양한 곳에서 일하는 여성들의 활기찬 세계가 포착됐다. 이들은 카메라 기법의 첨단 기술로 현대 생활의 움직임과 에너지를 전달했다. 여성 사진가의 세상을 보고 경험하는 새로운 방식은 전위적인 시각 언어를 형성하는 데 필수적이었다.
1920년대부터 시작된 건강과 섹슈얼리티에 대한 변화는 누드 사진부터 스포츠와 댄스 사진까지 제작하게 했다. 수많은 여성들이 전문 사진가로 경력을 쌓고 광범위하게 여행하며 해외를 경험한 기록 사진을 찍었고 공식적인 민족지학적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패션 및 라이프 스타일 잡지의 이미지는 ‘New Woman’을 생생하게 정의했다. 세계 대전 사이에 패션 및 광고 사진의 전례 없는 수요는 패션 리포터, 모델 및 사진가 모두에게 탁월한 고용 기회를 제공했다.
사진 언론의 부상은 포토저널리즘을 시각적 표현의 지배적인 형태로 확립했다. 여성 사진가들은 세계 경제 불황, 아프리카 탈식민지 투쟁, 유럽과 소련의 파시즘과 공산주의의 부상에 대한 포괄적인 견해를 전달했다.
세계 경제 위기와 1930년대 정치 사회적 불안에 수많은 여성 사진가들이 인간의 조건을 압도하는 이미지를 제작했다. 정부 기관에서 일하든 독립적으로 일하든 여성은 대공황과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이어지는 사건의 시각적 기록에 기여한 것이다.
192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 ‘신여성’은 문화 담론의 중심이었다. 독립적이고 자신감 있고 스타일리시한 이 여성들은 사진의 영역을 포함하여 전 세계의 흔적을 남겼다.
여러 국가의 숨막히는 이미지는 여성 사진가가 국제적으로 사진 분야에서 어떻게 실험하고 새로운 지평을 열었는지 알게 한다. 이 사진들은 모두 과거의 것이지만 많은 사람들이 실천한 예술과 사회 전반의 미래를 미리 보여주었다.
<
도정숙/ 서양화가 <게이더스버그, M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