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 어귀인 6월초, 매미들의 대합창에 취해있다. 행복한 비명이란 표현을 써도 될까. 이른 아침 창밖에서 울려오는 매미들의 대합창, 신비한 생명력을 호흡한다. 분명히 이런 일상은 축복임에 틀림없다.
오! 저 웅장한, 한편으론 겸손하고 그윽한 수백억 마리 매미들의 대합창은 신의 소리가 아니던가. 수많은 이 매미들이 저마다 ‘판소리’ 명창처럼 득음 경지에 어떻게 오를 수 있었단 말인가.
귀먹은 루드비히 베토벤이 하늘로부터 내려온 그 소리, 영감으로 받아 적은 마지막 교향곡 ‘대합창(제9번)’. 어찌해서 수백억 마리의 매미들의 음정, 박자 하나 틀리지 않고 화음을 이루며 이렇게도 유려한 대합창을 쉬지 않고 공연할 수 있단 말인가.
13세기 초 고려 때 몽고군의 침략을 막아내려는 염원으로 팔만대장경을 만들었다. 과장하지 않고 말해도 팔만대장경의 완성은 세계 인류가 기적의 표본으로 삼아도 손색없는 대작이다. 연인원 수만 명이 동원돼 바닷물에 절였다가 꺼내서 말린 송판 위에 불경을 각인해 놓은 것이 팔만대장경이다.
그런데 이 팔만대장경 필체가 한 사람이 쓴 것처럼 한 자도 틀림없이 똑같다. 이것이 기적이 아니고 뭔가.
경상도 합천 해인사에 팔만대장경이 보관돼있다. 현대 문명의 기기인 에어컨이나 통풍 환기장치나 방부제 하나 안 쓰고 고스란히 원형 그대로 보관하고 있다. 오히려 안전보존 강화를 위해 에어컨 등을 설치했더니 작품에 손상이 가고 훼손 징조가 보여 즉시 철수시켰다는 소식이다. 팔만대장경, 누가 이를 기적이 아니라고 말할 수 있단 말인가.
매미들의 곡조와 박자와 음향이 한결같은 이 현상에 팔만대장경과 뭔가 일맥상통하는 감격이 와 닿는다.
17년 동안 땅속에서 매미들의 수행목표가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어느 날 동시에 깨달음을 얻고 일제히 같은 곡목을 합창하는 그 동기에 신비감이 더해진다. 신의 소리인가, 한 맺힌 절규인가. 아니 하늘과 소통한 그 기쁨을 자랑이라도 하는 건가.
도무지 수백억 마리 매미들의 거대한 음악 앞에 한없이 왜소해지는 나 자신을 절감하지 않을 수가 없다. 어느 옛 시인은 “매아미 맵다 하고 쓰르라미 쓰다 하네, 매워도 맵다 말고 쓰도 쓰다 말고, 눈감고 귀 막고 보도 듣고 말리라”라고 읊었다.
유럽 일대와 미 동부 지역에서만 나타난다는 특이한 17년 만의 매미의 대향연은 감상하는 사람들 각자의 몫으로 나누어 놓겠다. 하루 이틀 천둥 번개 비가 내리더니 매미들이 일제히 합창을 멈췄다. 이 신비로운 행동통일에 갖가지 있을법한 상상들이 머릿속에 맴돈다.
밤낮을 가리지 않고 내 심금을 흔들고 간 매미들의 17년 만의 외출 그리고 그들의 혼백은 어디로 누구를 찾아가 버린 걸까.
아무튼 올해 6월은 매미들이 남긴 알 듯 모를 듯 그러면서도 한껏 호기심과 신비스러움의 경지에 빠져 지나가고 있는 중이다.
<
정기용 전 한민신보 발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