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 많이 듣고 쓰는 단어이다. 그러나 엄청 다른 생각과 기억을 일으키는 단어이기도 하다. 내가 교회를 다니고 예수를 믿는다고 말하면서 가장 힘들었던 것이 바로 이 단어였으니 말이다. 살면서 ‘아버지’라는 단어를 거의 20년 가까이 써보지 못했는데, 막상 교회를 가서 보니, 모든 사람들이 무슨 말을 하거나 혹은 울면서 쏟아내는 것이 이 단어였다.
하나님도 부를 수 있고, 예수님도 부를 수 있는데, ‘하나님 아버지’란 말은 도통 안나왔다. 어떻게 하나님이 ‘아버지’일 수 있지. 내게 아버지란 그때까지만 해도 그저 나를 사랑하지 않아 나를 버린 사람. 엄마와 동생들이라는 큰 책임감을 주고 간 사람. 나를 사람들 앞에서 떳떳하게 서지 못하게 한 사람. 그 이름 때문에 나를 평생을 쫄게 만들었던 사람. 나는 아버지가 ‘사랑이신 하나님’과 전혀 연결되지 않았다. 교회생활을 꽤 하고 여기저기 집회를 따라다녀도 여전히 나의 기도는 언제나 ‘하나님’에서 그치고 쉬었다가, 다시 시작하곤 했었다.
어느 여름 시댁 식구들이 다 모여 있는 자리에서 내가 한 무엇이 마음에 안들었는지(기억나지 않는다), 남편은 “아버지 없이 자라서 배운 게 없어서 그렇다”고 말했다.
집에서 꽤 멀리 떨어져 있던 교회를 어떻게 갔는지 기억이 나지 않는다. 다행히 교회 문은 열려 있었는지, 벌벌 기어들어간 교회 강단 앞에 앉아서 목놓아 울던 내 소리가 들린 것이 그 다음이었다.
“하나님, 하나님, 들으셨어요! 남편이(사실은 막 욕을 한 것 같다) 내가 애비없이 자라 배운 게 없어서 지금 이 모양 이 꼴이래요. 들으셨어요?!?”
한참을 악을 쓰고 우는데 “그래, 너의 남편 아버지는 지금 어디 있니?” 하는 마음의 소리가 들렸다. “남편 아버지는 죽었지요!! 오래 전에요.” “그럼 신영아 네 아버지는?” 나는 갑자기 무슨 뜻인가, 멈칫했다.
잠시 후, 나는 갑자기 오열했다. “네, 내 아버지는 여기 계시지요. 지금 살아계시지요. 하나님 아버지 당신이 나의 아버지고 살아계시고, 나를 버리지도 않으시고, 여기 계시지요. 죽어 아무것도 해줄 수 없는 그런 아버지 말고.” “아버지, 아버지, ~~~” 나는 평생 부르지 못했던 ‘아버지’를 그날 그 자리에서 다 부른 것 같다.
<
노신영 (산호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