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인간은 본능적으로 타인에게 잘 보이기를 원한다.
이 점을 충분히 감안하더라도 때로는 그 정도가 지나쳐 가식이나 허식도 불사하고, 스스로의 처지나 위치보다 훨씬 더 잘 보이려고 안간힘을 쓰는 경우도 있는데, 우리는 이것을 허영심이라 부를 수 있겠다.
나 자신도 이 점에서는 자유로울 수 없다. 짧지 않은 인생길을 되돌아 보며, 요즈음 같이 맑고 청명한 날씨와 같이 티 없이 깨끗한 마음으로 산 날 들은 과연 얼마나 될까 생각해 본다. 아마도 대부분의 날들은 겉치레와 과장, 진실되지 못함, 시기와 질투같은 불순물로 얼룩지지 않았을까?
물론 이러한 마음에는 허영심이라는 불순물도 많이 섞여 있을 것이다. 겉 포장의 허영심은 버릴수록 자유로워지는데, 그것이 쉽지 않다. 성숙의 과정에는 허영의 꺼풀을 하나 하나 벗겨버리는 작업도 포함돼 있다는 생각이 든다.
크리스챤 작가로 명성을 남긴 엔도 슈샤쿠의 ‘침묵’이라는 책에는 “인간이란 어떠한 상황에서도 허영심을 버리기가 쉽지 않은 존재”라는 메시지가 담겨있다. 심지어는 믿음을 지키기 위해 순교를 택한 순교자도 혹시 그 순교가 믿음의 정절을 지키기 보다는 배교자의 낙인이 찍히는 것이 두려워서, 즉 그 이름이 더럽혀지지 않도록 배교를 거부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을 던지고 있다. 말하자면 이 작가는 인간 내부에 뿌리 깊이 또아리를 틀고 있는 허영심을 가차없이 끄집어 내고 있다.
허영심 중에서도 우리가 흔히 주위에서 경험할 수 있는 것은 부모의 자녀에 대한 허영심이다.
두 말 할 필요도 없이 자식은 부모의 장식품이 아니요, 또한 부모가 이루지 못한 꿈을 이루기 위한 방편이 아닌데도, 자식을 통해 그 꿈을 이루려는 부모를 종종 만나게 된다.
예를 들면, 어떤 부모에게는 배나무가 더 좋게 보여서 사과나무의 특성을 가지고 태어난 자식을 억지로 배나무로 만들려고 한다면 큰 비극을 초래할 수 도 있다. 실제로 지인중에는 이러한 연유로 부모와 아들이 담을 쌓고 서로 연락을 끊고 살고 있다.
아주 오래전 일이지만, 내 기억에서 지워지지 않는 영화중에 고등학교때 관람한 ‘초원의 빛’이란 영화가 있다.
이때는 남녀의 사랑에 눈이 뜨이기 시작하는 사춘기때라 여주인공 ‘디니(나탈리우드 분)’에 반해 눈만 감으면 그 청초한 모습이 아른거리고, 그래서 그 영화를 세번이나 관람했다. 남주인공 ‘버드(워렌 비티 분)’는 여자친구 디니와 사랑에 빠졌고, 그녀와 결혼하여 아버지를 이어 농장을 경영하기를 원했다. 아버지는 본인의 욕심으로 아들을 강제로 예일대학교에 보내 공부하게 했고, 결국은 그 여자 친구는 깊은 마음의 상처로 정신병원에 오랫동안 입원했고, 둘은 서로 각자의 길을 가게 되는 슬픈 영화로 기억에 남아있다.
실제로 타주에 사는 지인의 가족 중에는 법대 지망을 원치 않는 아들을 부모가 강제로 밀어붙여 법대에 진학해 졸업은 했으나, 계속해서 변호사 자격 시험에 낙방했고, 이를 비관한 아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고 투신한 사건이 있었다. 큰 비극이 아닐 수 없다.
생명의 주인이신 하나님은 각 개인을 독특하게 창조하셨다. 자식은 부모의 소유물이 아니요, 부모의 역할이란 마치 뜰에 심은 과실 나무가 건강하게 잘 자라도록 물과 영양분을 골고루 주고 벌레가 먹지 못하도록 살충제를 뿌려주듯, 자녀가 각자 특성대로 사회의 건전한 일원으로 자라도록 보살펴 주는 것이 아닐까?
당연한 말이지만 솔제니친의 ‘암병동’이란 책에는 “무슨 일이든지 끝나지 않는 일이란 없다!”라는 말이 나온다.
극히 유한한 인생길에 늘 죽음을 의식하며 산다면, 아마도 부질없는 허영심을 버리기가 조금은 쉬워질 것이다.
<
박찬효 / 약물학 박사, M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