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일룡 칼럼
고등학교 1학년만 마치고 미국으로 이민 온 나에게는 한국에서 고등학교보다 중학교 때 같이 다녔던 친구들이 더 가깝다. 특히 다니던 중학교가 설립된 지 얼마 안 되어 겨우 2회 졸업생이 되었던 나와 나의 중학교 친구들은 함께 공유한 신생 학교에서의 특이한 경험 덕택에 서로 더욱 친근감을 느낀다.
무작위 추첨으로 학교를 배정 받은 후 처음 들어 보았던 이름의 학교 위치가 과연 어디인지부터 수소문해 보아야 했던 내 모교는 서울 영등포구 시흥동 산 중턱에 자리했다. 그 당시 많지 않은 남녀공학이기도 했던 그 학교의 입학식 때 보았던 학교 건물 모습은 초라했다. 사실 그 다음 해에 들어올 학생들을 받아들일 수 있는 교실도 없는 상태였다. 그래서 우리가 1학년을 다니던 동안 내내 증축 공사가 진행되었다. 나무도 별로 없던 돌산을 깎아 내어 만들었던지라 중학교 3년 내내 월요일과 토요일 아침 운동장에서 열렸던 조회가 끝난 후 전교생들이 운동장에 널린 돌들을 주워 버려야 했다.
비가 오면 산에 있는 흙이 씻겨 내려오곤 했기 때문에 이를 줄이기 위한 식목작업을 식목일뿐 아니라 중학교 2학년 때 부터 있었던 실업 시간에 종종 하기도 했다. 나무를 심는 것은 당연히 좋은 일이지만 왜 학생들이 학비를 내면서 무상노동까지 제공해야 하는지 어린 중학생들의 머리로는 이해하기 힘들었다.
반 배정은 성적에 따른 석차 순이기도 했고, 3학년 때는 전교 1등부터 30등이 맨 아래 1등부터 30등과 한 반에 배정되었다. 그런데 국영수과 등의 주요 과목은 다시 성적 석차 순으로 1등부터 60등이 헤쳐 모여 함께 공부했다. 미술, 음악, 체육 등 비주요 과목은 원래 배정된 대로 반별 수업이 진행되었다. 이렇게 3년을 같이 생활했기에 나에게는 중학교 친구들이 더 가깝다. 그래서 내가 고국을 방문할 때는 중학교 친구들을 맨 먼저 만난다.
2년 전에는 이렇게 만나는 친구들 몇 명에게 특별한 선물을 하기로 했다. 우선 미국을 떠나기 전에 나를 만나러 나오는 친구들의 명단을 받았다. 그리고 그 친구들이 오래 전에 미국에 있는 나에게 보내 주었던 편지들을 찾아 보았다. 다행히 나를 만나러 나오는 친구들 거의 모두의 편지들을 찾을 수 있었다. 그리고 그 편지들을 하나씩만 복사해 따로 따로 봉투에 담았다.
그렇게 준비했던 편지들을 친구들에게 건넸다. 친구들이 깜짝 놀랐다. 고등학교와 대학교 시절인 70년대에 쓴 편지를 내가 40년 이상 보관하고 있을 줄 몰랐던 것이다. 그 편지들을 읽으면서 친구들은 자신들의 옛 모습을 다시 만날 수 있었다. 본인이 그 시절에 무슨 생각을 하고 있었는지를 다시 한 번 볼 수 있게 되었다.
나는 오래된 편지들을 그대로 가지고 있다. 왜 보관했는지는 모르겠다. 70년대 중반에 미국으로 와 10년 정도 기간의 편지들을 가지고 있는 것 같다. 그 후의 편지는 많지 않다. 나도 아마 80년대 중반 정도까지는 손편지들을 쓰지 않았나 생각된다. 그리고 그 후에는 나도 손편지를 별로 쓰지 않았던 것 같다.
요즈음도 어쩌다 몇 장씩 꺼내 보는 손편지들 안에서 나의 모습을 보게 되는 것 같다. 그 편지들은 내가 쓴 편지들의 답장이 될 수도 있고, 또한 그 편지들에 대해 내가 답장을 썼을 것이라고 전제하면, 편지 내용들은 결국 나의 당시 모습을 드러내지 않을 수 없기 때문이다.
편지들 가운데에는 여자들로부터 온 것들도 있고 종교적인 내용도 있다. 친구들의 고민을 담은 것들도 있다. 내가 부끄러워야 할 내용들도 있고 감동을 주는 내용들도 있다. 요즈음 집에 있는 물건들을 조금씩 줄여 나가야 하겠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그 편지들은 감히 손 댈 수 없을 것 같다. 너무 소중한 나의 삶의 일부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때로는 스캔을 해서 컴퓨터에 저장해 두면 되지 않을까 생각하지만 직접 손으로 봉투에서 꺼내 손가락으로 넘겨 가면서 읽는 그 맛은 아마도 재생이 불가능 할 것이다.
그리고 또한 앞으로 이메일이나 텍스트만 아니라 가끔은 손편지를 직접 써 보기도 해야 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특히 내가 사랑하는 사람들에게는 말이다.
<
문일룡 / 변호사, 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