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늘 하루 이 창 열지 않음닫기

삼복더위와 음식(1)

2020-07-01 (수) 변형식 / 경희바울한의원 원장
크게 작게

▶ 변형식 한방칼럼

올해 초복은 하지로부터 세 번째 경일인 7월 16일이고, 중복은 하지로부터 네 번째 경일인 7월 26일이며, 말복은 입추로부터 첫 번째 경일인 8월 15일이다.
삼복의 유래를 살펴보자면, 삼복은 1년 중 가장 더운 기간으로 삼복더위라 하는데, 복은 원래 중국의 속설로 진/한에서 그 유래를 찾는다.

조선후기에 간행된 <동국세시기>에 따르면, “<사기>에 이르기를, 진덕공 2년에 처음으로 삼복제사를 지냈는데 성 사대문 안에서는 개를 잡아 충재를 방지하였다.” 즉, 당시 중국에서는 인간을 괴롭히는 벌레들을 물리치기 위한 주술행위로 개를 잡았고, 삼복일을 그날로 정해 애군을 막은 것이다.
조선시대 궁중에서는 더위를 이겨내라는 뜻을 담아 삼복일이 되면 높은 벼슬아치들에게 빙표를 줬는데, 당시에는 빙표를 들고 과의 장빙고에 가면 얼음을 타갈 수 있었다. 또한 삼복에 비가 오는 것을 삼복비라 하는데, 전남에서는 복날의 비를 농사비라 부르며 기다렸고, 충북 보은 지역에서는 복날의 비를 대추가 흉년이 들어 가계가 어려워진다는 속설이 돌기도 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닭고기는 따뜻한 성질로 오장을 안정시켜주고 몸 저항력을 키워준다고 한다. 그래서 복날에 많이 찾는 음식이 닭고기가 되었다. 삼계탕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동의보감> 하서의보기(夏暑宜補氣)조에는, ‘여름 더위에는 기운을 보해야하는데, 자월 즉 섣달에 일양이 생기고, 인월 즉 정월에는 삼양이 생기며, 음력 사월에는 육양이 생겨 양기가 모두 위로 나오는데, 이는 기가 떠오르기 때문이다.’ 라는 문구가 나온다. 이런 까닭에 사월이 되면, 사람의 몸은 여름의 몸으로 완전히 변화한다.
또한, ‘사람의 배는 지기(地氣)와 같아서 양기가 피모(皮毛)로 흩어지면, 뱃속 양기가 허(虛)해져서 설사가 쉽게 난다.’ 라는 말도 하고 있다. 그래서 여름에는 설사병이 많아지는 것이다. 겨울에는 이와 반대되는 기전으로, 속이 뜨거워져 구토가 많아지는 것이다. 지난겨울 길거리 여기저기에 널려있는 취객의 토사물을 생각해보면 바로 이해가 될 것이다.


여름철 날씨가 더워지면서 갈증이 심해져, 찬물이나 찬 음료수를 마구 들이키게 된다. 그러나 찬물이나 찬 음료수는, 마시는 당시에만 시원한 느낌이 들 뿐, 갈증이 쉽게 가시지 않고, 심지어 복통과 설사를 유발하기도 하는 등, 본질적인 답이 되지 못한다. 오히려 미지근한 물이나 따뜻한 음식을 먹는 것이 도움이 된다.
이것은 마치 뜨거운 그릇에 갑자기 찬물을 부으면, 그릇이 깨지는 것과 같은 이치에서이다. 이제 특히 여름에만 ‘삼계탕’이나 ‘보신탕’ 같은 보양식을 즐기는 이유를 알았을 것이다.

그래서 여름철에 환자들이 ‘배가 아프고 메슥거리며 구토하고 설사를 한다.’ 라고 호소하면, 본 한의원에서는 ‘서독(暑毒)이 장위로 들어갔기 때문’이라며, 향유산, 향유탕, 육화탕, 삼백산 같은 약을 쓰면서, 미지근한 물을 마시고, 찬 음식을 삼가라고 권하는 것이다.
이열치열(以熱治熱)! 조상의 지혜가 담긴 한마디다.
문의 (703) 907-9299

<변형식 / 경희바울한의원 원장>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