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 우간다의 한 슬럼가… 사람, 동물, 쓰레기가 뒤섞여 만들어낸 소음과 냄새로 정신이 혼미해지는 동네가 있다. 불운의 대표주자들이 한 자리에 모인 듯 각기 다른 사연을 짊어지고 생존을 위해 맨발 몸부림이 처절한 곳이다.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엄마, 오빠, 동생과 힘겹게 살아가는 10살 소녀, 피오나 무테시…… 공책대신 옥수수를 들고, 학교 대신 시장을 누비며 날마다 이 생존 대열에 휩쓸려 살아간다. 어느 날, 공짜 죽을 얻어 먹기 위해 우연히 체스 가르치는 곳을 찾게 되고…… 슬럼가 청소년들에게 꿈을 심어주기 위해 스포츠 선교를 하는 코치를 만나면서 그녀가 꿈도 꿀 수 없었던 인생이 현실로 찾아 오는 기적의 주인공이 된다. 잠재된 천재성이 발휘되면서 우간다 최연소 국가 대표로 발탁되고, 체스의 신동으로 불리며 아프리카와 세계를 놀라게 한다. 디즈니에서 드라마 같은 피오나의 이야기를 영화로 제작하여 ‘체스의 여왕 (Queen of Katwe)’이라는 제목으로 상영되었다.
이십여 년간 우간다에서 많은 피오나들을 보았다. 대안 없는 생존의 장벽에 떠밀려 하루 하루 벼랑 끝을 살아가는 사람들… 이들에게 꿈이란 옥수수 죽 한 그릇과 지붕 덮인 방 한 칸… 그 이상은 생각하기도 벅차다. 지옥 같은 삶을 벗어나고픈 욕구는 간절하지만 혹여 큰 꿈을 꾸다 자칫 더 깊은 바닥으로 떨어질까 두려워 출구 없는 악몽에 안주해 버리는 그들의 현실……그 두려움을 증명하듯 피오나 역시 외부와의 접촉이 잦아지면서 마음에 거품이 끼고 슬럼가에 적응하지 못한다. 높아진 마음으로 임한 경기에서 패배의 쓴 잔을 마신 후, 영원히 슬럼가를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는 절망의 늪에 빠지는 그녀…… 하지만, 마침내 우승을 거두고 그토록 꿈꾸던 집을 사서 엄마에게 안겨주며 가난한 이들에게 희망의 아이콘이 되었다.
한국도 배고프던 시절이 있었다. 세 끼 대신 두 끼 먹고 밥 대신 죽을 먹으며 흰 쌀밥 먹는 것이 꿈이었던 그 때……. ‘우리도 한 번 잘 살아보자’는 각오로 새벽을 깨우고 눈물을 삼키며 미래를 개척하던 부모형제가 있었다. 절박한 현실에도 불구하고 희망을 위한 헌신을 포기하지 않았던 그들 덕분에 한강의 기적이 가능했고, 세계 속의 한국이라는 가슴 벅찬 오늘을 이루었다. 불과 몇 십 년 만에 꿈을 현실로 살아가는 우리…… 이제는 쌀밥이 지루해 맛 집을 찾고, 생존이 아니라 즐거움을 위해 요리한다. 이쯤 되면 우리도 세계를 향해 희망의 아이콘이 되어야 마땅하다. 그런데 잘살게 된 한국땅에서 날마다 수 십 명의 젊은이들이 목숨을 끊는다. 배고플 땐 죽어라 살았는데, 살만하니 왜 스스로 죽는 걸까? 배고플 땐 인간에게 필요한 것이 밥인 줄 알았는데, 배부르고 돌아 보니 인간을 살린 것은 밥이 아니라 꿈이고 희망이었다. 가난이 꿈을 엮어내고 그 꿈이 길을 만들어 살아가게 해준 것이다.
지금은 꿈이 고픈 시대이다. 배고픔을 타개하려는 생존 본능과 맞설만한 결사적인 삶의 동기가 필요하다. 수명은 연장되고 생활 수준은 높아졌는데,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내 삶의 이유를 말해달라’ 아우성이다. 인간은 애초에 생존이 목적이 아니라 목적을 위해 생존하는 존재이기에 그 목적이 희미해지면 생존은 허무해진다. 가정, 학교, 사회, 어디에서도 진지하게 배운 바 없는 삶의 이유, 존재 목적, 혹은 꿈이라고 부르는 이것의 공백으로 허기져 신음하는 가련한 시대여……
케이티 데이비스, 18세 백인 소녀, 부유하고 다복한 가정에서 태어나 남부러울 것 없던 그녀는 대학 입학 전 1년을 우간다에서 지낼 계획으로 선교 여행을 떠난다. 그리고 그녀의 인생은 완전히 달라졌다. ‘엄마라고 불러도 돼요? (Kisses from Katie)’…… 우간다 어린이 14명을 입양하여 키우는 케이티의 이야기를 담은 책으로 미국 사회에 신선한 충격을 던져 주었다. 명문대 진학, 상류사회 진출이라는 성공 공식에 편승해 살았을 그녀가 우간다에서 생존의 바닥에 방치된 어린 피오나들을 만난 후 인생의 새로운 지평을 열게 된 것이다.
‘여자는 약하나 어머니는 강하다’ ‘새끼를 지키는 모성 본능’…… 우리가 이미 알고 있었지만 미처 몰랐던 삶의 공식에 의해 그녀의 삶은 강력한 에너지를 뿜어내기 시작했다. 사랑의 포대기로 감싸 안은 14명 아이들의 행복이 그녀의 꿈이 되었고, 이는 자식이 삶의 희망인 여느 부모와 다를 것이 없었다. 어떤 이들에게는 무모한 선택으로 보일 이 관계 형성을 통해 그녀는 그 또래 어느 누구도 상상할 수 없는 폭발적이고 강인한 삶의 동력을 공급받았다. 그렇게 그녀는 행복은 꿈의 크기가 아닌 꿈의 수준을 업그레이드하는 용기의 기초 위에 지어지는 것임을 증명해 보였다.
<
박주리 (선교사, 버클리문학회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