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실업수당 청구 또 298만건, 1분기 GDP 증가율 -4.8%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미국의 ‘실업 쓰나미’가 8주 연속 이어졌다.
연방노동부는 지난주(5월3~9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298만1,000건을 기록했다고 14일 밝혔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가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일자리가 줄었다는 의미다.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 250만건을 웃돌았다.
미 언론들은 최근 8주간 코로나19 사태로 약 3,650만명이 일자리를 잃었다고 평가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폭증은 3월 셋째 주(330만건)부터 본격화됐다.
이후 같은 달 넷째 주에는 687만건까지 치솟은 뒤 이후 661만건(3월 29일~4월 4일), 524만건(4월 5~11일), 444만건(4월 12~18일), 384만건(4월 19~25일), 317만6천건(4월 26일~5월 2일) 등을 기록했다. 미 노동부는 4월 26일~5월 2일 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를 당초 316만9천건에서 7천건 많은 317만6천건으로 상향 조정했다.
청구 건수는 6주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300만건 밑으로 떨어지긴 했지만, 여전히 유례없는 수준으로 큰 규모다.
일부 주의 부분적인 경제 정상화 움직임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충격이 지속되면서 이 같은 추세는 적어도 당분간은 이어질 전망이다.
미국의 일자리 감소는 다른 고용지표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지난 8일 연방 노동부는 4월 비농업 일자리가 2,050만개가 줄고, 같은 달 실업률은 14.7%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또한 4월 실업률은 월간 기준으로 2차 세계대전 이후 최고, 일자리 감소는 대공황 이후 최대폭으로 평가되고 있다.
미국의 1분기 국내총생산(GDP) 증가율도 -4.8%(연율)를 기록했다. 지난해 4분기 2.1% 성장에서 코로나19 충격에 마이너스 성장으로 돌아선 것이다. -1.1%를 기록했던 지난 2014년 1분기 이후 첫 마이너스 성장이자 -8.4%를 기록했던 2008년 4분기 이후 최악의 성장률이다.
최근 8주 연속 주당 수백만건을 기록한 주간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미 노동부가 이를 집계하기 시작한 1967년 이후 최고치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