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가 또다시 폭락세를 연출했다. 경기부양책의 현실성에 대해 의구심이 제기된 데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으로 선언하면서 투자심리가 크게 위축됐다.
11일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 지수는 전날보다 1,464.94포인트(5.86%) 하락한 23,553.22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1,700포인트 가까이 밀렸다가 장 막판 낙폭을 줄였다. S&P 500 지수는 140.85포인트(4.89%) 하락한 2,741.3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도 392.20포인트(4.70%) 내린 7,952.05에 각각 마감했다.
지난 9일 2,013.76포인트 폭락했던 다우지수는 10일엔 1,167.14포인트 급반등했지만, 하루 만에 폭락세로 되돌아간 셈이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경기부양 카드를 총동원하겠다는 입장이지만 그 실현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면서 ‘경기부양 약발’이 하루 만에 시들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의회를 찾아 공화당 상원의원들과 비공개 오찬을 한 자리에서 연말까지 ‘급여세율 0%’를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뉴욕타임스(NYT)는 8,000억달러짜리 제안이라고 전했다. 특정한 취약 계층에 초점을 맞춘 정밀한 부양책이라기보다는 천문학적인 규모의 포괄적인 대책이라는 점에서 의회 내 지지를 얻기는 어렵다는 분석이 나온다.
여기에 WHO가 코로나19를 ‘팬데믹’으로 선언하면서 뉴욕증시의 낙폭이 확대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