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에게는 12척의 전선이 남아 있습니다. 죽을힘을 다해 싸운다면 적을 이길 수 있습니다.” 명량해전에 앞서 올린 이순신 장군의 장계이다.
후반기 인생 설계에 대한 고민이 한창이던 작년 여름, 인생 선배들의 삶을 통해 지혜를 얻고자 발품을 팔며 돌아다니던 중 광화문 지하 박물관에서 충무공과 해후하게 되었다. 어린 시절 모든 교육의 집결점이었던 ‘충효사상’. 나에게 이순신은 ‘충’을 담당한 스승이었다.
민주정치의 정착을 위해 한국사회 전체가 몸살을 앓던 시절을 지나며 ‘충’의 개념에 대한 혼란과 평가절하가 생긴 탓이었을까? 아님 그보다 더 열정적인 일을 만난 때문일까? 사춘기 이후 나의 관심은 ‘우리나라’에서 ‘열방’으로, 나의 영웅은 ‘애국자’에서 ‘인류구원자’로 옮겨졌다. 그리고 선택한 땅, 아프리카… 20여년의 세월 동안 애국을 넘어 인류애에 마음을 싣고 열정을 불태웠다.
큰아이는 3살 때 아프리카에 가서 거기서 자랐다. 미국에서 대학을 졸업하고, 한국으로 돌아가 해병대를 지원했는데 면접 중 국가관 질문에서 탈락했다. “미국, 중국, 일본, 북한 중 우리나라의 주적이 누구냐?”는 질문에 어릴 때 자주 들었던 임진왜란과 이순신 장군이 생각나서 ‘일본’이라고 대답한 것이다. 외모는 한국인, 정서는 아프리카, 언어는 영어를 사용하며 국제화된 이 아이에게는 모든 나라가 평등하기에 ‘애국’은 공감하기 난해한 개념이었다.
문득 나의 영웅 충무공의 애국은 무엇에 대한 것이었을지 궁금해졌다. 왕, 주권, 땅, 백성… 모두 조선이라는 나라를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특별히 그가 죽을힘을 다해 지키려한 것은 무엇이었을까? 나약하고 어리석은 왕을 위해 목숨을 내놓는 것이 가치 있는 일인가? 결국 얼마 후에 적에게 넘겨질 영토와 주권을 위해 수많은 인명이 제물이 된다면 정당한 일인가? 애국이라는 명분으로 투쟁하며 보호하는 것의 실체가 무엇일까? 고구려, 백제, 신라 모두 우리의 역사인데 그 시대 그들은 서로가 주적이 되어 칼을 휘둘렀다. 같은 나라의 역사를 두고 계백은 가족을 베었고, 어린 화랑의 부모들은 자식의 주검을 안아야 했다. 한시적이고 불완전한 것을 위해 하나밖에 없는 생명을 건다면 불합리한 도박이 아닌가?
광화문 지하 박물관에서 답이 없는 질문들을 던지며 그와 나누던 긴 대화 끝에 난 충무공의 깊은 내면에서 새어나오는 한숨소리를 들었다. 장수이지만 문과 소양이 풍부해서 마음 속 고뇌를 글로 남겼고, 그 덕분에 시대를 넘어 그와의 소통이 가능한 것은 참 감사한 일이다.
“소매 속엔 적을 이길 병법이 있건만 가슴에는 백성 구할 방책이 없네…” 그 순간 깨달았다. 그가 구한 것은 조선이 아니라 백성이었음을. 계백과 어린 화랑들이 죽기를 각오하고 싸운 것도 백제나 신라가 아닌 백성이었고, 일제강점기 만주와 한반도 곳곳에서 일어난 의병과 독립군들이 지켜낸 것도 백성이었다. 그 백성이 살아남아 자손을 낳고 그들이 세계 곳곳에 흩어져 또 다른 후손을 길러내도록, 이 생명의 줄기를 이어가기 위해 애국자가 필요했고, 위인이 등장했던 것이다.
<
박주리 선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