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김장하고 쑤시는 무릎 자칫하면 평생 ‘파김치’

2018-12-11 (화) 임웅재 기자
작게 크게

▶ 장시간 쪼그리고 앉거나 무리한 운동에 반월상연골판·십자인대 손상 위험

▶ 방치땐 조기 퇴행성관절염 불러, 연골판 찢어지면 걷지 못할 수도

김장하고 쑤시는 무릎 자칫하면 평생 ‘파김치’
김장하고 쑤시는 무릎 자칫하면 평생 ‘파김치’

이용석 분당서울대병원 정형외과 교수가 무릎관절 모형으로 반월상연골판·십자인대 손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사진제공=분당서울대병원>


스포츠를 즐기거나 장시간 쪼그리고 앉아 일을 하다가, 교통사고 등을 당해 무릎관절의 반월 모양(반월상) 연골판이나 십자인대가 손상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손상된 정도나 부위 등에 따라 일시적으로 약간의 통증을 느끼는 정도에 그칠 수도 있다. 하지만 손상이 반복되고 방치할 경우 대퇴골(넙다리뼈)과 평평한 경골(정강이뼈)에 붙어 있는 연골이 손상돼 퇴행성 관절염으로 악화할 수 있다. 신발에 굵은 모래가 들어가면 발바닥이 아픈 것과 같은 이치다.

반월상 연골판은 둥근 넙다리뼈와 평평한 정강이뼈가 만나 무릎 관절을 이룰 때 바깥쪽에 생기는 빈 공간을 채워줘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해주는 구조물이다. 안쪽과 바깥쪽 반월상 연골판으로 나눌 수 있다.

연골판은 파열 정도·위치·모양에 따라 증상과 치료방법이 달라진다. 증상은 통증, 부종, 무릎이 구부려지거나 펴지지 않는 잠김 현상과 어긋나는 느낌, 딱딱거리는 소리 등이다.


◇연골판 찢어지면 무릎 구부리거나 펴지지 않을 수도

손상이 심하지 않으면 약물·물리·주사치료 등 보조적 치료를 할 수 있다. 통증·부종이 있으면 진행속도가 빨라지므로 증상이 있을 때 적당한 진통소염제를 쓰는 게 관절염 악화를 막는데 도움이 된다.

연골판, 특히 피부와 가까운 바깥쪽이 찢어지면 굉장히 아프다. 안쪽에 비해 혈액순환 잘 되고 신경이 민감한 부위라서다. 손상이 심한 경우 며칠간 절뚝거리고 걷지 못할 수도 있는데 치료를 안 하면 자주 재발한다. 특정 자세에서 찢어진 부위가 뒤집어지거나 엉뚱한 데로 끼어 들어가 잠김 현상이 발생하면 무릎을 구부리거나 펴지 못할 수 있다. 이럴 경우 관절경수술로 연골판을 원래 모양에 가깝게 펴서 꿰매주거나 손상된 부분을 일부 잘라내고 다듬어주기도 한다.

서동현 부평힘찬병원장은 “손상된지 오래 되는 등 연골판이 싱싱하지 않아 제 기능을 못할 경우 혈류공급이 잘 되는 부위를 최대한 남겨놓고 모양을 잘 만들어 절제하는 게 남은 연골판이 결대로 찢어지는 걸 막는 데 도움이 된다”고 설명했다. 이용석 분당서울대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찢어지거나 불안정한 부분을 꿰매 보존하거나 일부를 잘라내고 다듬어주는 게 넙다리뼈·정강뼈 연골 손상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며 “다만 잘라내는 연골판이 많을수록 고유의 완충 기능이 줄어들고 관절이 푹 내려앉을 수도 있기 때문에 득실을 잘 따져 절제부위를 최소화하는 게 좋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특히 “연골판절제술은 잘못된 연골판으로 인한 무릎관절 연골 손상과 퇴행성 변화를 예방하고 늦추기 위한 것이므로 젊은층·중년층이 주된 대상이며 퇴행성 변화가 어느 정도 진행된 50~60대 이상 장노년층에서는 안 하는 게 좋다고 보는 견해가 우세하다”고 덧붙였다.

한두 번 이상 연골판절제술을 했지만 연골판이 2분의1~3분의2 정도 손상됐다면 사망한 사람의 연골판은 면역처리한 제품을 이식하기도 한다. 퇴행성 변화가 많이 진행됐으면 이식수술의 효과가 떨어져 45세 이하 연령층에만 건강보험이 적용된다.

◇십자인대 파열, 통증 가라앉으면 큰 불편 없어 방치 잦아

무릎 앞뒤에 있는 X자 모양의 십자인대도 단골 부상 부위다. 십자인대는 넙다리뼈와 종아리뼈의 위치를 고정시켜줘 관절운동의 정상적 범위를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넘어지면서 무릎 관절이 꺾이거나, 상대 선수와 심하게 부딪히거나, 빠르게 달리다 갑작스런 방향전환을 자주 하다 보면 무릎 앞쪽 전방십자인대가 손상되기 쉽다. 심한 경우 ‘퍽’하는 소리, 심한 통증과 함께 무릎을 전혀 움직일 수 없게 되기도 한다.


십자인대가 파열되면 관절 속에 출혈이 생겨 손상부위가 붓고 관절이 불안정해지면서 통증을 유발한다. 다만 대부분은 증상이 경미하거나 부분파열된 정도로 2~3일 지나면 부기가 빠지고 통증이 가라앉는다. 그래서 단순 타박상·근육통으로 착각해 방치하거나 찜질·파스 등으로 가볍게 처치하는 경우가 많다. 목동힘찬병원 최경원 정형외과 전문의는 “전방십자인대는 완전히 끊어져도 급성 통증이 가라앉으면 큰 불편감이 없어 모르고 방치하는 경우가 많다”며 “무릎이 불안정해지고 앞뒤로 흔들리면 결국 조기 퇴행성 관절염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치료는 성별, 나이, 무릎관절의 안정성, 내측부 인대 또는 반월상 연골 파열 여부, 직업, 스포츠 활동 정도 등을 고려해 수술적·보존적 치료를 할지 결정한다. 축구·농구 등 회전 동작이 많은 활동을 좋아하는 젊은 환자들은 수술적 치료가 고려된다.

가톨릭대 인천성모병원 김재민 재활의학과 교수는 “최근 등산·축구·농구 등의 운동을 하다가 무릎에 갑작스런 충격이 가해져 십자인대가 파열되는 일반인들이 늘고 있다”며 “평소 유산소·근력운동으로 무릎관절 주변의 근육·인대·연골 등을 튼튼하게 유지하고 통증과 함께 무릎에 이상이 느껴질 경우 정밀검사를 받아보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임웅재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