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아버지께서 깨우면 나는 부스스 일어나 배드민턴 채를 들고 나왔다. 초등학교 때 아버지는 아침 운동 삼아 나와 배드민턴을 치셨다. 내가 이기면 부라보콘을 사 주기로 약속하셨고 아이스크림에 죽을 둥 살 둥 하며 배드민턴을 쳤다. 물론 내가 아이스크림을 먹을 기회는 한 달에 한두 번 정도였던 것 같다. 그 한두 번도 나의 죽기 살기 필살기로 달려드는 모습에 져주신 게 아닐까?
엄마가 말씀하시길 나는 아버지와 닮아도 너무 닮았단다. 외모는 말할 것도 없고, 성격, 식성 등 아주 빼닮았다고 하셨다. 아들 바라기인 엄마와 달리 아버지는 늘 내 편이셨고, 칭찬을 아끼지 않으셨다. 초등학생 때 미국방송인 AFKN을 보며 내용을 설명하면 어떻게 그런 걸 다 이해했냐고 놀라워하셨다. 그건 내가 영어를 이해해서가 아니라 한참 보다 보면 저절로 알게 되는 내용인데도 말이다. 아버지는 별 것 아닌 것도 남들에게 내 자랑을 하셨다. 이런 칭찬이 수줍음 많았으나 내적으로는 자신감 가진 아이로 성장하게 해주신 것 같다.
성인이 된 후 가끔 엄마는 아버지께 서운한 일이 있으면 전화해 나의 역성을 기대하셨다. 그런데 가만히 듣다 보면 아버지의 잘못은 모르겠고, 그런 아버지를 이해 못 하는 엄마가 오히려 이해가 안 돼 아버지의 입장을 설명할라치면, 엄마는 “딸이라고 하나 있는 것이 어쩌면 제 아버지 편만 드냐”면서 서운함을 표현하셨다.
엄마가 돌아가시고 이민 온 지 얼마 안 돼 동생들과 갈등이 있었는데 속상해서 아버지께 말씀드렸더니, 아버지는 중립이셨고 오히려 동생들 편을 드는 듯하셔서 한동안 서운했다. 그후 한참 지난 어느 날 아버지는 엄마의 산소 앞에서 “나도 너희 엄마 가고나서 , 한동안 정신없이 산 것 같다. 내 정신이 아니였어”라고 하셨다. 나는 아무 말 없이 듣고 있었지만, 그 말씀으로 그동안 서운했던 모든 내 감정을 다 날려 보냈다. 나도 엄마를 잃었지만, 아버지는 평생 반려자인 아내를 떠나보내셨으니, 얼마나 힘드셨을까?
내가 ‘나’이도록 지지해주신 분, 늘 긍정적인 삶을 살도록 가르쳐 주신 분, 그런 아버지가 건강하게 내 곁에 계셔서 감사하다. “아버지, 존경합니다. 그리고 사랑합니다.” 이제 곧 Father’s Day가 온다. 나처럼 사랑 표현에 인색한 분들이 있다면, 이달이 가기 전에 용기내 부모님께 사랑 고백을 해보심이 어떨는지…
<
강희선(SF공감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