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의 창] 굿모닝
2017-06-16 (금) 12:00:00
정조은(KCCEB 코디네이터)
미국에 와서 몇가지 놀라웠던 것 중 하나는 생판 모르는 사람들끼리 참 친절하다는 것이다. 지나치다 맞은편에서 걸어오던 키 큰 아저씨가 ‘굿모닝’ 하며 너무 환하게 미소를 지었을 때 대답도 안하고 속으로 ‘왜 아는 척하지? 내가 아는 사람인가?’라며 경계를 하였던 기억이 있다. 나중에서야 아 미국사람들은 원래 그렇구나 하고 왠지 내가 쌀쌀맞게 지나친 것이 미안하기도 했었다. 한국에서 길거리를 지나며 모르는 사람에게 웃으며 인사하는 것은 생각하지 못할 일이다.
이 아메리칸 특유의 친절함은 영어가 불편할 땐 두렵기만 했었다. 가게 점원들은 지난 저녁에 있던 농구경기는 보았는지, 내가 입은 옷을 어디서 샀는지,…무슨 할말이 그리 많으며 물어보는 것은 또 왜 그리 많은지. 마음 졸이는 내 심정은 모르고 그들은 너무 다정하게 물어오고는 했다. 왠지 친하지도 않으면서 정말 궁금해서 물어보는 것인지, 조금은 가식적이고 기계적이라는 생각도 들었다.
생각해보면 한국에서도 모르는 아주머니가 ‘나이는 몇이야?’ ‘결혼은 했어?’ 물어오기도 한다. 별로 다정한 말투는 아니었던 아주머니의 급작스러운 친밀감에 황당했었다. 미국에서는 모르는 사람에게 친절하게 다가오기는 해도 친밀한 질문을 할 수 있는 관계가 되기까지 시간이 꽤 걸린다.
언어가 조금 통하고 나서도 미국의 ‘스몰토크’ 문화는 익숙해지기 힘들었다. ‘스몰토크’는 사교적인 자리에서 예의상하는 한담 또는 처음 만난 사이에서 어색한 분위기를 누그러뜨리기 위한 가벼운 대화이다. 그렇지만 사실이 스몰토크가 ‘스몰’한 잡담이지만은 않다. 워크숍에서 만난 다른 부서의 직원들과도, 소개팅에서 만난 사람도, 업무상 만나게 되는 사람들과도, 지인의 파티에서 만난 사람들과도, 모든 대화의 물꼬는 스몰토크로 트이게 된다. 내성적이었던 나에게는 도대체 모르는 사람하고 무슨 얘기를 해야 할지, 얼마만큼 대답해 주어야 할지, 또 어떤 질문들을 물어보아야 할지 참 부담이었다.
이제는 나도 익숙하여 먼저 ‘신발이 이쁘네요’라던가 칭찬을 건네고 좋아하는 상대방을 보면 흡족해진다. 모르는 사람과 농담을 스스럼없이 주고받고 왠지 기분이 좋아진다. 웃으며 ‘굿모닝’ 하던 키 큰 아저씨를 잔뜩 경계했던 기억이 가끔 날 때면 많이 바뀐 나자신이 신기하다.
<
정조은(KCCEB 코디네이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