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자에 발간된 의사 서윤석 시인의 시집 ‘생각하는 숲’을 읽어 보았다. 이 책을 평가(서평)한다기 보다 책을 읽고 난 후에 느낌(독후감)을 써보고 싶은 마음이 왠지 저절로 밀려왔…
[2024-07-09]요즘에는 따로 따로 하루를 잡지만 여유가 없던 시절 워싱턴 당일관광 코스였다. 멀리서 손님이 오면 나도 이 코스를 따랐다. 시간이 영 안 되면 국회의사당에서 스미스소니언, 링컨 …
[2024-07-09]한 사람의 전기를 읽는다는 것은 그 사람의 생애속으로 들어가는 것이다. 나는 문장의 사이사이에서 베토벤의 신음과 한숨과 절망의 절규를 들었다. 마지막 책장을 덮으면서는 마음이 …
[2024-07-02]신의 몸이 아직 살아 있는 한 적들이 우리를 업신여기지 못할 것입니다.『칼의 노래』는 김훈이 2001년 발표한 역사 소설이다. 조선시대 최고의 명장, 이순신(李舜臣, 1545.4…
[2024-06-25]이제는 말할 수 있다. 어디 사는지. 이게 다 2018년의 화제 드라마 스카이캐슬 덕분이다. 군대에 가니 고참이 묻는다. 야 신병, 너 어디서 왔어? 넵! 신병 정신병 서울에서 …
[2024-06-25]톨스토이의 더 유명한 작품을 제치고 을 자신의 삶을 성찰하고 싶은 이들과 중년층에게 적극 권하고 싶다. 갑자기 찾아온 죽음 앞에 남겨진 사람들과 떠나간 사람의 이야기가 솔직하게 …
[2024-06-18]동시대 최고의 미술 작품을 선보이는 미술시장 제54회 이 지난 13-16일에 스위스 바젤에서 열렸다. 아트 바젤은 매년 3월 홍콩, 6월 바젤, 10월 파리, 12월 마이애미에서…
[2024-06-18]음식을 먹다 잃어버린 사랑하는 사람을 떠올린 기억이 있는가? 미셸 자우너 (Michelle Zauner)의 『H마트에서 울다(Crying in H-Mart)』가 이에 대한 가슴 …
[2024-06-11]을 내가 자원봉사 활동하는 패어팩스 카운티의 도서관에 발견했다. 막연한 호기심에 빌려 왔다. 뭐 대단한 소설이 아닐거라는 선입감으로 저녁을 먹고 읽기 시작했다. 이 소설의 내용이…
[2024-06-04]미국 신문을 처음 읽던 당시 눈길을 끈 단어가 있었다. 제목에 큼지막하게, GOP. 앗! 비무장지대 지오피에서 북이랑 교전사태라도 터졌나? 내용으로 짐작하니 공화당(Republi…
[2024-06-04]김호연 장편소설 『불편한 편의점』은 서울역에서 노숙 생활을 하는 ‘독고’라는 이름의 남자가 어느 날 한 여성의 지갑을 주워 주면서, 그녀가 운영하는 편의점에서 야간 알바로 일하게…
[2024-05-28]2023년의 노벨 문학상은 노르웨이의 소설가이며 극작가인 욘 포세(Jon Fosse)가 수상하게 되었다. 그는 1959년 해안 도시 하우게순(Haugesund)에서 출생하였다. …
[2024-05-21]한동안 코비드 팬데믹으로 마스크에 가려져 보지 못했는데, 미국사람들은 잘 웃는다. 스쳐가는 사람에게 보여주는 웃는 얼굴, 다른 나라 사람들은 그게 신기해서 미국문화의 한 특징으로…
[2024-05-21]우연히(아니라면 ‘당장’) 이 책이 당신 손에 들려지길 바란다. 무엇을 다룬 소설인지 모른 채, 그저 잘 알려진 한강 작가의 다른 작품도 읽어보자는 가벼운 계획으로. 어떤 책은 …
[2024-05-14]올해 12회를 맞이한 ‘프리즈 뉴욕’은 맨해튼 허드슨 야드에 위치한 더 쉐드에서 5월 1-5일까지 열렸다. 참여 팀은 25개국 60여 갤러리이며 한국에서는 국제와 현대 갤러리가 …
[2024-05-14]소대장으로 6.25사변중에 참전한 시인이 2009년 82세에 발표한 500행의 長時이다. 그의 전쟁 체험에 상상력이 합하여 이 작품을 이룬다. 고구려의 신화 유화, 임진란, …
[2024-05-07]벌써 5월이니 철 지난 꽃타령일까. 우중충한 아재일수록 열심히 꽃사진을 찍는다고 해서 그 대열에 끼지 않으려고 무척이나 자제하는데도 결국은 참지 못 하는 것이 도그우드(Dogwo…
[2024-05-07]일상생활에서 예술과 디자인을 손쉽게 감상하고 싶다면 우선 우리가 입는 의복을 보라. 거기엔 개인의 취향과 가치관뿐만 아니라 현대 예술과의 깊은 관계가 반영된다. 이 전시는 직물이…
[2024-04-30]김영하 작가의 장편 소설 (문학동네 출판)은 1905년 4월 4일 영국 일포드 라는 화물선을 타고 제물포항을 떠나 태평양을 건너 5월 20일 멕시코로 온 한인 노동자 1033명…
[2024-0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