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발언대] 새정부의 국문초록(國文秒錄)과 평통(平統)

2025-11-25 (화) 07:49:57 오해영/뉴욕평통자문위원
크게 작게
새정부의 국문초록(國文秒錄)에 담긴 이재명 대통령의 새로운 대북관은 전임정부의 대북정책과 달리 광범위하고 세부적이다. 북한에 대한 화해가 혹 종북경색에 편해(編解)된 굴종외교가 아닐까 했는데 전혀 아니다.

사실 나자신 반신반의 했었는데 염려에서 벗어난 반가운 ‘국문초록’임을 안겨줬다. 제나라 환공이 고죽국을 정벌하고 돌아오던 중 길을 잃었을 때 재상 관중은 늙은 말의 지혜가 필요하다고 했다.

환공이 늙은 말을 풀어놓자 그 말은 오랜 경험과 본능으로 고향 쪽으로 향했고 군대는 덕분에 길을 찾을 수 있었다. 연륜이 깊은 사람은 어려움을 헤처 나갈 지혜가 있듯이 새정부의 대북정책 비전과 목표가 마치 제나라 환공처럼 어려움 속에서 길를 찾은 형상이 아닌가 싶다.


이재명 대통령은 80주년 광복절 경축사를 통해 대북정책의 주요 구상을 구체화했다. 대북정책의 중요 발추는 5가지로 요약해서 정리해보면 첫째. 민주주의의 토대이자 경제발전의 조건으로서 평화 구축의 중요성을 최우선적으로 강조했다.

둘째. 남북한 교류 협력 증진이 정치적 화해와 군사적 긴장 완화로 이어져 평화구축을 위한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행동 우선의 원칙을 분명히 했다.

세째. 북한이 주장하고 있는 적대적 두 국가론을 인정하지 않고 통일을 지향하는 특수관계라는 기존 남북합의 정신을 강조하되 통일을 부각하지 않음으로서 평화 공존을 위한 북한의 호응을 기대한다는 메세지를 발신했다.

넷째. 남북한 경제협력과 상호 교류는 공리공영과 유무상통이라는 추진 원칙을 천명하면서도 서두르지 않고 신뢰회복 단계에 따라 여건을 보아가며 추진할 것이라는 점을 암시했다. 끝으로

다섯째. 북한의 비핵화는 국제사회와의 협력을 통해 평화적이고 점진적인 방식으로 추진되어야 한다는 원칙을 재확인했다.

이재명 정부는 남북한간의 소통을 선행해야 한다. 남북간 연락채널을 복원시켜 상호 대화의 물꼬를 트고 국제사회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로 남북한 국민 합의에 의한 통일정책 마련이 추진 될수 있도록 어려운 과제지만 시간을 두고 재고해야 한다.

통일문제는 21세기 대한민국의 운명을 좌우할 중대한 국가적 평화와 도약을 위한 미래전략이다. 1981년 5월 한국정부는 통일을 위한 미래전략의 바탕으로 민주평화통일자문 기구를 설립했다.


헌법 제92조에 근거를 두고 있으며 평화통일정책에 대해 대통령에게 자문하고 건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는 제22기 기준으로 총 2만 2824명의 자문위원 중 해외 자문위원 약 3600명을 포함하고 있으며 뉴욕자문위원은 120명으로 앞으로 추가될 것으로 안다.

44년이라는 긴 세월 뉴욕평통은 남북한 통일에 대한 비전과 실천의지를 천명하고 역사인식에 바탕을 둔 통일정책을 동포사회에 전파하는 역할을 충실히 했다. 뉴욕평통 21기 박호성 회장은 지난 11일 뉴욕평통 사무실에서 마지막 임원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서 21기에서 펼쳐온 세계여성컨퍼런스, 통일세미나, 북한 이탈주민지원사업 등 주요 활동에 적극 동참한 자문위원들과 한인사회에 감사 인사를 전했다.

한편 뉴욕평통 제22기 이시화 회장은 취임사에서 협회는 열린 마음으로 소통하며 하나의 목표를 향해 뉴욕협의회가 해외협의회 중 가장 모범적인 조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끝까지 함께해 주시기를 당부했다.

이재수 미주부의장의 평화통일 강연회와 이명석 뉴욕한인회장의 제22기 민주평통의 발전을 기원한다는 축사를 끝으로 폐회했다. 앞으로 평통은 글로벌시대에 걸맞게 능동적이고 실사구시(實事求是)적이며 일사불란하게 통일정책 개발에 대한 효용이 높은 해법를 도출해야 한다.

<오해영/뉴욕평통자문위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