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빅테크, ‘빚내야 AI 빛난다’…아마존도 채권 발행 대열에

2025-11-17 (월) 10:35:21
크게 작게

▶ 17조6천억원 규모 회사채 발행…오라클·메타·알파벳 뒤이어

빅테크, ‘빚내야 AI 빛난다’…아마존도 채권 발행 대열에

아마존 로고[로이터]

거대 기술기업들이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를 위해 줄줄이 거액의 채권을 발행하는 가운데 아마존도 이에 동참했다.

아마존은 회사채를 발행해 약 120억 달러(약 17조6천억원)를 조달하기로 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17일 보도했다.

아마존은 6개 구간으로 나눠 채권을 발행하며 만기가 가장 긴 40년물 채권의 금리는 미 국채 대비 1.15%포인트(P) 높은 수준을 적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아마존은 이를 통해 조달한 자금을 기업 인수와 자본지출, 자사주 매입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클라우드 서비스를 위한 AI 인프라 투자에 상당 부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아마존웹서비스(AWS)를 운영하는 아마존은 클라우드 분야 세계 1위 업체이지만, 마이크로소프트 애저와 구글 클라우드 등과 경쟁이 격화하고 있다.

아마존은 이달 초 오픈AI에 엔비디아의 그래픽처리장치(GPU) 수십만 개를 탑재한 컴퓨팅 인프라를 7년간 공급하는 380억 달러 규모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아마존 데이터센터의 용량은 2022년과 비교해 갑절로 늘었다. 앤디 재시 아마존 최고경영자(CEO)는 이 용량이 2027년까지 다시 두 배로 증가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이번 채권 발행 주관사로는 골드만삭스 그룹과 JP모건체이스, 모건스탠리가 선정됐다.

아마존이 채권 발행으로 자금을 조달한 것은 2022년 11월 이후 3년 만이다.


아마존은 AI 투자를 늘리면서 올해 자본 지출이 1천250억 달러(약 183조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내년 자본지출도 1천470억 달러에 달한다는 것이 분석가들의 전망이다.

내년 자본지출은 2023년과 비교해 약 3배 늘어난 수치라고 블룸버그는 지적했다.

거대 기술기업들은 최근 들어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 연이어 채권 시장의 문을 두드리고 있다.

오라클은 지난 9월 180억 달러를 채권 시장을 통해 조달했고, 메타도 지난달 300억 달러의 회사채를 발행했다.

구글의 모회사 알파벳은 지난 4월 유럽에서 65억 유로의 채권을 발행한 데 이어 이달 초에 다시 총 250억 달러 규모의 회사채를 미국과 유럽 시장에 내놨다.

이들 기업은 현금 동원력도 뛰어나지만, 데이터센터 신설과 컴퓨팅 파워 확보에 드는 비용이 천문학적인 수준이다 보니 빚까지 동원해야 경쟁에서 우위에 설 수 있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최근 실적 공개 이후 "우리가 과소 투자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확실히 하고 싶다"며 "(데이터센터) 용량을 공격적으로 선행 구축하는 것이 올바른 전략"이라고 말한 바 있다.

JP모건체이스는 AI 투자를 위한 채권 발행이 늘어나면서 내년 미국 고등급 채권시장이 사상 최대인 1조8천100억 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한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