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다시 덮친 ‘AI 거품’ 공포… 글로벌 증시 급락

2025-11-06 (목) 12:00:00
크게 작게
다시 덮친 ‘AI 거품’ 공포… 글로벌 증시 급락

뉴욕 증시는 4일 3대 지수가 모두 하락했다. [로이터]

인공지능(AI) 관련 종목이 고평가됐다는 경고음이 커지면서 글로벌 증시에 AI 버블에 대한 불안감이 번지고 있다.

뉴욕 증시 3대 주가 지수는 4일 일제히 하락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2.04% 빠지면서 가장 크게 하락했다. 아시아에서도 5일 한국과 일본 증시가 급락하며 AI 버블 우려가 확산하는 모양새다.

특히 올해 미 증시에서 AI 붐을 이끌던 주도주의 하나인 팰런티어의 주가는 3분기 호실적에도 불구하고 8% 가까이 급락했다. 팰런티어 주가는 4일 나스닥 시장에서 7.95% 하락한 190.70달러에 마감했다.


앞서 팰런티어는 3분기에 매출액이 사상 최고액인 11억8,000만달러, 주당순이익은 21센트로 집계됐다고 3분기 실적을 공개했다. 모두 시장 예상치를 뛰어넘는 수치였다.

AI 소프트웨어 기업인 팰런티어는 AI 시대의 도래와 함께 전쟁부(국방부)를 포함한 연방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발판으로 기업가치를 크게 끌어올렸다. 최근에는 국방 분야에서 데이터와 AI 기술을 활용하는 여러 건의 계약을 따내며 입지를 강화했다. 하지만 예상을 뛰어넘는 3분기 호실적도 한껏 높아진 투자자들의 기대를 채우지 못하면서 주가가 하방 압력을 받았다.

2008년 주택 시장 붕괴를 예측해 유명해진 공매도 투자자 마이클 버리가 팰런티어와 AI 반도체 기업 엔비디아의 주가가 하락한다는 데 베팅(bearish bet)한 사실이 알려진 것도 주가 급락을 부추겼다. 영화 ‘빅 쇼트’의 실제 인물인 버리는 지난달 말 2년 만에 소셜미디어 엑스에 글을 올려 AI와 기술기업들의 주가에 거품이 끼어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팰런티어는 올해 들어 주가가 170% 이상 오르는 가파른 랠리를 펼치며 미국은 물론 한국에서도 개미 투자자들의 ‘애호주’로 떠올랐다. 최근 2년간 상승률은 무려 1,000%나 된다.

다만 향후 12개월 예상이익에 근거한 선행 주가수익비율(P/E)이 무려 약 250배에 달해 끊임없이 거품 논란이 제기됐다. 이는 엔비디아의 33배, 마이크로소프트의 29.9배를 크게 뛰어넘는 수준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개미 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종목으로 구성된 ‘개미 선호 지수’(Retail Favorites Index) 역시 이날 큰 폭으로 하락하며 이날이 미국의 상호관세 발표로 증시가 급락했던 4월 이후 최악의 하루가 됐다고 보도했다.

이 지수에는 팰런티어는 물론 테슬라와 레딧, 로빈후드 등이 포함돼 있는데 이날 3.6% 주저앉으며 하락 폭이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하락 폭의 거의 3배에 달했다.


골드만삭스와 모건스탠리 등 간판 투자은행의 최고경영자(CEO)도 이날 증시 거품론에 가세했다.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솔로몬 CEO는 이날 “향후 12∼24개월 사이에 주식 시장이 10∼20% 하락할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며 “시장이 상승한 뒤에는 잠시 되돌림이 오고 투자자가 다시 재평가하는 시기가 오게 된다”고 말했다.

오픈AI는 기업가치가 5,000억달러로 평가되지만 여전히 적자 상태고, 뚜렷한 수익 모델이 없는 상황이다. 리서치 업체 세븐스 리포트는 지난달 5,000억달러라는 오픈AI의 기업 가치가 2025년 예상 매출액의 25배에 달한다며 “경영진이 이같이 높은 가치평가(밸류에이션)를 정당화하기 위해서는 성장을 수익으로 전환할 수 있는 능력을 조만간 입증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하기도 했다.

AI 버블 우려는 5일 아시아 증시로도 옮겨붙었다. 코스피 상승을 주도했던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오전 한때 6∼7%대 급락하며 코스피 지수가 한때 3,900선 아래로 떨어지기도 했다.

다만 이후 반등에 성공하면서 코스피 지수는 4,000선을 회복하며 전장보다 2.85% 내린 4,004.42로 장을 마쳤다. 외국인이 2조5,000억원 넘는 규모의 순매도에 나서면서 지수 하락을 이끌었고 코스닥 지수도 2.66% 빠졌다.

일본 증시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225 평균주가(이하 닛케이지수)도 AI 버블 우려에 오전 한때 50,000선이 붕괴하기도 했지만 오후 들어 회복에 나서며 2.5% 급락한 50,212로 장을 마감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