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지평선] 러너들에게만 천국인 서울

2025-11-04 (화) 12:00:00 이영태 / 한국일보 논설위원
크게 작게
달리기 열풍이 거세다. 주말이면 한강 공원 등 주요 러닝 코스는 달리기하는 사람들로 북적댄다. 운동화 한 켤레와 운동복만 있으면 되고, 시간과 장소에도 크게 구애받지 않는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건강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진 것도 큰 동력이다. 정확한 통계야 없겠지만, 우리나라 러닝 인구가 1,00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업계는 본다.

■ 당연히 마라톤 대회도 급증하는 추세다. 마라톤 동호인 사이트 ‘마라톤 온라인’에 따르면 올해 연말까지 개최되는 전국 마라톤 대회는 517개에 달한다. 2021년 248개였으니 4년 새 2배 넘게 늘었다. 작년(394개)보다도 100개 이상 늘었다. 가을 중턱을 넘어선 주말(1, 2일) 이틀 동안에만도 전국적으로 크고 작은 19개 대회가 열렸다. 그럼에도 주요 대회는 눈 깜짝할 사이에 신청이 마감돼 애간장을 태울 정도다.

■ 누군가에겐 희열이겠지만, 누군가는 그에 따른 불편함을 감수해야 한다. 러닝 크루들이 단체로 몰려다니며 보행자들에게 민폐를 준다는 논란이 이는 것처럼, 거의 매 주말 열리는 서울 도심 마라톤 대회는 극심한 교통 체증을 낳는다. 마라톤 행렬과 맞닥뜨리면 30분, 1시간씩 옴짝달싹 못 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그래도 대다수는 동료 시민들의 건강한 취미생활을 위해 어느 정도의 불편은 감수할 수 있을 것이다. 문제는 교통 통제 구간과 우회도로에 대한 안내 부족이다.

■ 마라톤이 집중된 서울의 경우 대회를 4년 새 50개에서 151개로 3배 늘려 놓았지만, 안내 시스템은 별반 달라진 게 없다. 사전 안내를 시간대별로 완벽하게 숙지하지 않으면, 목적지로 가는 길이 뚫려있는지 아닌지 확인할 길이 없는 경우가 많다. “교통경찰이 부족하다고 한다”(서울시) “전광판 요청을 해도 예산이 없다고 한다”(경찰청) 등 서로 책임만 떠넘긴다. 세계에서 손꼽는 정보기술(IT) 시스템을 갖춘 대한민국이다. 내비게이션 업체들의 협조를 얻어 교통 통제 구간만 실시간으로 친절히 보여줘도 이런 불편은 크게 줄어들 수 있다. 러너들에게만 인심 좋은 서울은 아니어야 한다.

<이영태 / 한국일보 논설위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