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니스 박 콜드웰 뱅커 베스트 부동산
올해 오렌지카운티와 LA 카운티의 부동산 시장을 요약하면 “정체 속 균형”이라고 할 수 있다. 거래량은 뚜렷하게 줄었지만 집값은 여전히 버티고 있다. 바이어는 높은 모기지 금리 때문에 망설이고, 셀러는 팬데믹 시기 급등했던 집값을 기준으로 가격을 고수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지금의 시장은 셀러에게만 유리한 시장도, 바이어에게만 유리한 시장도 아닌, 서로 밀고 당기는 힘이 교차하는 균형점의 국면에 있다.
■거래량 감소와 집값 유지의 배경
MLS 통계에 따르면, 2024년 대비 올해 오렌지카운티 전체 거래량은 약 15~20%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간 주택가격은 지역에 따라 소폭 상승하거나, 최소한 크게 하락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요바린다-대형 주택과 학군 선호 덕분에 여전히 수요가 견고하다.▲브레아, 플래센티아-중형급 주택과 좋은 학군으로 한인 바이어들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학군 좋은 지역은 꾸준히 수요가 있지만, 그렇지 않은 매물은 시장에 오래 머물기도 한다. ▲
애나하임. 라미라다-가격 부담이 적은 지역은 여전히 거래가 이뤄지지만, 과거만큼의 속도는 아니다.
■셀러 전략: 현실적인 가격과 준비된 마케팅
최근 시장에서 공통적으로 보이는 현상은 “비싸게 나온 집은 팔리지 않는다” 는 점이다. 특히 브레아, 부에나팍과 같은 지역에서는 비슷한 조건의 집이 동시에 시장에 나와 비교되기 때문에, 가격을 높게 잡으면 매물이 오래 남는다.
따라서 셀러라면: ▲가격 책정: 주변 거래 사례를 근거로 합리적인 가격을 설정해야 한다. ▲마케팅: 전문 사진, 스테이징, 소셜미디어 광고 등으로 매물의 장점을 최대한 부각시켜야 한다. ▲유연성: 초기 반응이 기대만큼 빠르지 않다면, 시장 상황에 맞게 가격을 조정할 준비가 필요하다.
■바이어 전략: 협상 기회와 장기적 안목
바이어들에게는 지금이 오히려 기회일 수 있다. 팬데믹 시기처럼 수십 명이 동시에 오퍼를 넣던 과열 경쟁은 사라졌다. 오히려 시장에 오래 머문 매물에서 협상의 여지가 크다.
▲가격 협상: 셀러가 장기간 시장에 내놓은 매물은 가격을 낮추거나 크레딧을 제공할 가능성이 크다. ▲인스펙션 조건: 수리 요청이나 크레딧을 적극적으로 요구할 수 있다. ▲클로징 비용 지원: 일부 셀러는 바이어의 클로징 비용을 도와주기도 한다. 특히 풀러튼, 플래센티아, 요바린다 처럼 학군이 좋은 지역은 여전히 인기가 많지만, 예전처럼 급하게 오퍼를 넣지 않아도 된다. 시간을 두고 조건을 비교하며 협상할 수 있다.
■투자자 전략: 현금 구매자의 유리함
투자자에게 지금 시장은 또 다른 기회를 제공한다. 높은 금리로 대출 바이어가 줄어들면서, 현금 구매자는 더 좋은 조건으로 협상할 수 있다. ▲ADU가 가능한 단독주택: 추가 임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어 여전히 매력적이다. ▲멀티패밀리 매물: 오렌지카운티는 임대 수요가 꾸준히 높아 안정적인 수익원이 된다. ▲리모델링 후 가치 상승: 오래된 주택을 수리·개선해 재판매하거나 임대하는 전략도 여전히 유효하다.
특히 어바인, 애나하임은 대학과 직장 수요가 많아 렌트 시장이 탄탄하고, 브레아, 풀러튼, 부에나팍은 한인 커뮤니티 수요 덕분에 공실 위험이 낮다. 장기적으로 부동산 자산을 확보하려는 투자자라면 지금이 좋은 기회일 수 있다.
■결론: 지금은 균형을 읽는 안목이 필요하다
현재 오렌지카운티와 LA 카운티의 부동산 시장은 어느 한쪽이 절대적으로 유리하지 않은 균형 국면에 있다. ▲셀러는 현실적인 가격 책정과 적극적인 마케팅이 필요하고, ▲바이어는 협상력과 장기적 affordability 계산이 중요하며, ▲투자자는 현금과 지역 분석으로 기회를 잡을 수 있다. 지금은 단순히 금리나 가격 그래프만 보는 것이 아니라, 지역별 특성과 개인 상황에 맞춘 전략적 선택이 필수다.
문의 (714) 349-0505
<
제니스 박 콜드웰 뱅커 베스트 부동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