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연준의장 “금리인하, 고용시장 하강위험 반영…경제 안나빠”

2025-09-17 (수) 01:20:06
크게 작게

▶ “관세비용 소비자 전가 아직 미미…인플레 영향 올해·내년 누적될 것”

연준의장 “금리인하, 고용시장 하강위험 반영…경제 안나빠”

제롬 파월 연준의장[로이터]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은 17일 고용시장의 하강 위험이 증가한 점을 반영해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다만, 올해 성장률 둔화와 실업률 상승, 인플레이션 반등 위험에도 불구하고 현 미국 경제 상황에 대해 "나쁘지 않다"라고 강조했다.

파월 의장은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이날 기준금리를 4.25∼4.50%에서 4.00∼4.25%로 0.25% 포인트 인하 결정한 뒤 연 기자회견에서 인하 배경에 대해 "고용의 하강 위험이 증가하면서 (인플레이션 위험과 고용 위험 간) 균형이 바뀌었다"며 "따라서 우리는 이번 회의에서 좀 더 중립적인 정책 입장을 향해 또 다른 조처를 하는 게 적절하다고 판단했다"라고 밝혔다.


이어 "오늘 (인하) 결정으로 우리는 잠재적인 경제 상황 전개에 맞춰 시의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좋은 위치에 섰다"라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현 고용시장 상황에 대해 "이민자 변화만큼 노동 공급이 감소하고 있다"며 "노동 공급 증가가 거의 없는 가운데 고용 수요도 급격히 줄고 있어 앞서 내가 '이상한 균형'(curious balance)이라고 불렀던 현상을 보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그는 "오늘 결정의 초점이 된 것은 우리가 노동시장에서 보고 있는 위험들"이라고 부연하기도 했다.

파월 의장의 이 같은 발언은 최근 예상을 밑돈 고용 증가로 노동시장 약화 우려가 커진 게 이날 기준금리 인하 결정의 주된 배경이 됐음을 명확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파월 의장은 "실업률이 (8월) 4.3%이고, (올해 상반기) 성장률이 1.5%라고 하지만, 경제가 나쁜 것은 아니다(It's not a bad economy)"라고 강조했다.

한편, 파월 의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올해 남은 기간과 내년 중 지속해서 누적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관세 영향에 따른 인플레이션 상승 위험이 남아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관세의 물가 영향에 대해 "상품 가격 상승이 올해 인플레이션 상승의 대부분을 설명하고 있다"며 "현시점에서 이는 매우 큰 효과는 아니지만 올해 남은 기간과 내년 지속해서 누적될 것으로 예상한다"라고 말했다.


다만, 관세가 상품 가격 인상으로 소비자에게 전가되는 현상은 현재까지 미미하게 나타났으며, 주로 중간 공급망에서 관세 비용이 흡수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파월 의장은 "관세를 수출업자들이 지불하지 않고, 대부분 수출업자와 소비자 사이에 있는 회사들이 지불하고 있다"며 "시간이 지나면 비용을 전가할 의도가 있다고 말하지만 지금은 그렇게 하지 않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이어 "전가가 예상보다 더 느리고 작았지만, 일부 전가가 있다는 것은 명확하다"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과, 측근인 스티븐 마이런 백악관 국가경제자문위원회(CEA) 위원장의 연준 이사 임명, 리사 쿡 연준 이사 해임 시도 등으로 대변되는 연준 독립성 우려에 대해선 "우리는 어떤 것에도 주의를 흐트러뜨리지 않은 채 우리가 할 일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FOMC 회의에서 마이런 이사가 주장한 '빅컷'(0.50%포인트 금리 인하) 의견이 의미있게 검토됐는지에 대해서는 "이번 회의에서 0.50%포인트 인하에 대한 광범위한 지지가 전혀 없었다"라며 의미 부여를 일축했다.

연준은 이날 FOMC를 열어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에서 4.00∼4.25%로 인하했다.

지난해 12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한 이후 5번 연속 동결 행진을 이어오다가 9개월 만에 내린 것으로, 트럼프 행정부 들어선 첫 금리 인하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