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픈AI, ‘영리화 전환 걸림돌’ 주정부 규제에 본사이전 논의”

2025-09-09 (화) 10:22:24
크게 작게

▶ WSJ 보도… “뉴섬 주지사와 가까운 인사들 자문위원 고용하기도”

“오픈AI, ‘영리화 전환 걸림돌’ 주정부 규제에 본사이전 논의”

지난 4일 백악관 만찬에 참석한 샘 올트먼 오픈AI CEO[로이터]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영리사업을 위해 구조 개편을 진행 중인 가운데 캘리포니아 주정부의 강한 규제를 피하기 위해 본사를 이전하는 최후의 수단까지 논의했다고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9일 보도했다.

WSJ은 소식통을 인용해 오픈AI 경영진이 지난해 말 처음 구조 개편 계획을 발표했을 때 지역사회·단체들의 강한 반발을 예상하지 못했으며, 특히 최근 몇 달간 캘리포니아주 법무장관의 조사 결과가 이들의 우려를 키우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오픈AI는 캘리포니아주 법무장관이 구조 개편을 어렵게 만들 경우 최후의 수단으로 캘리포니아를 떠나는 안을 논의해 왔다는 것이 WSJ 소식통들의 전언이다.


오픈AI는 캘리포니아주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법인 등록지는 델라웨어주여서 사업 구조 개편을 위해서는 두 주의 감독과 승인을 받아야 한다.

오픈AI 대변인은 본사 이전 계획에 대해 부인하면서 "우리는 캘리포니아주·델라웨어주 법무장관실과 계속 건설적으로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WSJ은 오픈AI가 주(州) 정부의 지지를 확보하기 위해 최근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와 가까운 관계인 라폰자 버틀러 전 연방 상원의원을 포함한 자문위원들을 고용하기도 했다고 전했다.

오픈AI는 또 주 전역의 시민사회 단체들과 의견 수렴을 위한 회의를 열었으며, 비영리·지역사회 단체 지원을 위해 5천만달러(약 694억원)를 지출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다.

하지만 캘리포니아의 최대 노동조합 연대체인 캘리포니아노조연맹의 로레나 곤살레스 회장은 오픈AI 구조 개편에 규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으로, 주 법무장관실과 1년 넘게 이 문제를 논의해 왔다고 밝혔다.

곤살레스 회장은 "우리는 그들이 비영리 지위로 혜택을 받았으며, 이제 막대한 수익을 창출할 것이므로 그 돈은 원래 돌아갈 사람들에게 환원되어야 한다는 입장을 분명히 해왔다"고 말했다.

앞서 롭 본타 캘리포니아주 법무장관과 캐슬린 제닝스 델라웨어주 법무장관은 지난주 초 오픈AI 측에 공식 서한을 보내 챗GPT가 아동과 청소년에게 미칠 위험성에 대해 우려를 표명했다.


두 장관은 캘리포니아의 한 10대가 챗GPT와 장기간 상호작용 이후 극단적 선택을 한 사건 등을 언급하며 "어떠한 안전장치가 있었더라도 작동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는 미국 대중의 오픈AI 및 업계에 대한 신뢰를 정당하게 흔들었다"며 "오픈AI와 AI 업계는 AI의 안전한 배치를 선제적이고 투명하게 보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15년 비영리단체로 설립된 후 영리 자회사를 만들어 외부 투자금을 조달해온 오픈AI는 향후 영리 부문을 독립적인 법인으로 전환해 주주 이익을 추구할 수 있게 하는 사업 구조 개편을 연내 마무리한다는 목표로 추진 중이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