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이달 말 세액공제 종료… 전기차 막판 판매 급증

2025-09-03 (수) 12:00:00 조환동 기자
크게 작게

▶ 전국 딜러들 할인 경쟁
▶ 한 달 리스 40달러까지

▶ 9월말까지 구매계약해야
▶끝나면 ‘판매 절벽’ 우려

이달 말 세액공제 종료… 전기차 막판 판매 급증

연방정부의 최대 7,500달러 세액공제가 이달 말로 완료되면서 딜러들이 대규모 할인 경쟁에 나서고 있다. 테슬라의 한 딜러 모습. [로이터]

이달 말 전기자동차에 대한 연방정부의 세액공제 혜택 종료를 앞두고 전기차 판매가 큰 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딜러들은 이후 ‘판매 절벽’을 고심하고 있다고 월스트릿저널(WSJ)이 1일 보도했다.

전국 자동차 딜러들은 이달부터 일제히 전기차를 대상으로 큰 폭의 할인 경쟁을 벌이고 있다.

보도에 따르면 콜로라도주 덴버의 한 기아차 대리점에선 소형 스포츠유틸리티차(SUV) 전기차(EV) 니로가 세전 월 40달러에 리스하는 조건으로 판매되고 있다. 준중형 SUV EV6는 월 100달러 미만, 판매가격이 6만5,000달러인 준대형 SUV EV9은 월 189달러에 리스로 가져갈 수 있다.


4대째 대리점 사업을 하고 있는 이 대리점의 총괄 매니저 콜트 에믹은 집안에서 오랫동안 내려온 경험칙이 있는데 월 리스비가 차 가격의 1% 이하면 소비자에겐 최상의 조건이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에믹은 “이 전기차들은 그 경험칙을 완전히 깨뜨렸다”며 현재 가격은 그 1%의 일부에 지나지 않는 전례 없는 수준이라고 했다.

판매가 5만7,000달러의 닛산의 소형 SUV 전기차 ‘아리야’도 월 169달러에 리스하는 조건으로 판매되면서 콜로라도주에서 최근 판매량 최상위권 차량이 됐다.

미국에서 전기차 구매 시 연방정부가 지원하는 7,500달러의 세액공제 혜택이 이달 30일 종료되는 것을 앞두고 자동차 딜러들이 큰 폭의 할인에 나선 것이다. 이에 가격 때문에 전기차 구매를 망설여온 사람들을 포함해 소비자들은 앞다퉈 차량 구매 행렬에 뛰어들고 있다.

전기차 세액공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한 감세 법안이 통과되면서 당초 예정보다 7년가량 앞당겨 폐지 수순을 밟게 됐다.

다만 연방 국세청(IRS)이 오는 30일로 만료되는 전기차에 대하 세제혜택을 사실상 연장하면서 테슬라와 현대차 등 전기차 업체들은 안도의 한숨의 쉬며 추가 판매를 기대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크고 아름다운 법안’(OBBBA)이라고 명명한 감세·재정확대법에서 전기차에 대당 최대 7,500달러 세액공제를 해주는 세제 혜택을 오는 9월 30일에 끝나도록 했다. 이에 따라 제조업체들도 이를 9월 30일 전에 구매 계약을 하고, 9월30일까지 전기차 인도가 이뤄져야 한다는 뜻으로 받아들였다.

그러나 IRS의 유권 해석으로 전기차 업체들은 숨통이 트였다.


IRS는 OBBBA 문구의 ‘취득’이라는 단어가 뜻하는 것은 이 마감시한 전에 반드시 인도가 끝나야 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고 유권 해석했다. IRS는 납세자가 9월 30일, 또는 그전에 문서로 구매 계약을 맺고, 대금 납부가 이뤄졌다면 납세자들은 차량을 인도받을 때 세액공제를 요청할 수 있다고 밝혔다. IRS는 또 9월 30일 이후에 차량을 인도받아도 세액공제는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이는 전기차 세액공제가 사실상 연장된다는 의미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전기차 구매 계약이 급증하면서 차량 인도 시기는 지연되고 있다. 자동차 조사매체 콕스 오토모티브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9월 30일 이전에 전기차를 인도받기 위해 주문이 몰리면서 일부 전기차 신차 모델을 주문하면 거의 3개월 후에야 차량을 인도받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IRS의 유권해석이 없었다면 제때 차량을 인도받지 못해 세제 혜택을 받지 못하는 바이어들이 많을 것으로 우려됐었다. 또한 세제 혜택이 불가능하다면 계약을 취소하거나 아예 계약하지 않았을 소비자들도 많았을 것으로 분석됐다.

한편 WSJ은 최근 전기차 판매 급증이 자동차 산업에 한 시대가 저물었음을 뜻한다고 지적했다. 이 신문은 전기차 판매에 크게 의존해온 자동차 딜러들은 이제 서둘러 새 환경에 적응해야 하고, 완성차 업체들은 전기차 생산을 축소하는 등 파장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조환동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