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반도체 장비 수출 추가 제한 검토
2025-06-19 (목) 12:00:00
▶ 중국 대상으로 옵션 남아
▶ 트럼프 행정부 압박 카드
지난주 미국과 중국의 2차 고위급 무역 협상이 타결되기 전에 연방 상무부가 추가 대중국 반도체 수출 제한 조치를 검토했었다고 월스트릿저널(WSJ)이 16일 보도했다.
상무부 당국자들은 무역 협상이 잘 진행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해 반도체 제조 장비 등의 수출 제한 확대를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협상 결렬로 규제가 실제로 확대됐을 경우 첨단 반도체뿐 아니라 스마트폰이나 자동차 등 일상에서 많이 쓰는 제품에 들어가는 반도체 제조 장비까지도 중국 수출 길이 막혔을 것이라는 얘기다.
미국과 중국은 지난 9∼10일 영국 런던에서 2차 고위급 무역 협상을 벌였으며 1차 제네바 회담 합의를 이행할 프레임워크를 도출하는 데 합의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의 대미 희토류 공급과 미국 내 중국인 유학생 허용 등이 합의안에 포함됐다고 밝혔다.
WSJ은 수출 규제가 확대됐을 경우 스마트폰 등 다양한 제품에 들어가는 반도체 공급망에 혼란이 빚어졌을 수 있으며, 반도체 장비업체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즈와 램 리서치, 웨이퍼 제조업체 KLA 등 미국 내 주요 반도체 관련 업체들의 매출에 수십억 달러 규모의 타격을 가했을 수 있다고 진단했다.
최근 회계연도 기준으로 중국은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와 램 리서치, KLA 매출 비중의 약 40%를 차지한다.
백악관 관계자는 수출 규제를 앞으로 쓸 옵션으로 남아있느냐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중국은 미국 자동차 제조업체에 대한 희토류 판매에 6개월 한도를 설정해 무역 갈등이 다시 격화될 경우 협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그동안 반도체 수출 제한을 협상의 주요 카드로 사용해왔다. 반도체 제조에는 실리콘 웨이퍼에 다양한 재료를 입히고 가공하는 특수 장비가 필요한데 이들 장비 대부분은 미국과 네덜란드, 일본 등 서방 기업들이 생산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