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벽돌로 지어진 낡은 건물들이 엉성한 발코니를 걸친 채 양쪽으로 늘어서 있다. 좁은 골목에서는 사람들이 거리낌 없이 술병을 들고 걸어 다닌다. 뉴올리언스의 프렌치 쿼터는 1718년 프랑스 식민지의 중심지로 발전하다가, 스페인령을 거쳐 다시 프랑스령이, 1812년 드디어 미국에 편입되었다. 그렇다 보니, 이 도시는 마치 방랑자처럼 여러 번의 국적 변경을 겪으며, 그 끝에서 방향을 잃은 듯 혼란스러운 느낌을 준다.
프렌치 쿼터라는 이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건물은 스페인 건축 양식으로 되어 있고, 파스텔톤의 고풍스러운 건물과 우아한 발코니에 앙증맞은 화분들이 여행객들의 시선을 끈다. 이곳은 과거의 유산을 간직한 채 여전히 낡고 아름다우며, 과거와 현재가 뒤엉켜 있다.
세인트루이스 대성당을 지나 해적 골목 따라 걷다 보면, ‘포크너의 집’이라는 명패가 눈에 띈다. 노란색 파스텔로 칠해진 벽과 민트빛 문이 아름다운 이 건물이다. 이곳에서 윌리엄 포크너는 건물의 1층을 빌려 살았고, 그의 첫 번째 책은 시집이었다. 셔우드 앤더슨을 만나게 된다. 시보다는 산문을 쓰는 것이 더 좋겠다는 격려로 시에 미련이 있던 포크너는 문학 수업을 받으면서 [더블 딜러]에 글을 써 문단에 등장했다.
그의 첫 번째 산문 소설인 [병사의 부수]는 앤더슨의 추천으로 출판되었다. 소설의 내용은 전쟁에서 치명상을 입고 고향으로 돌아온 조종사가 민간 사회에 적응하지 못하고 외국인처럼 살아간다는 이야기이다. 이후의 작품들에서도 뉴올리언스에서 경험한 허무와 절망이 녹아들어 있다. 그는 “산다는 것은 죽어 있을 준비를 한다”고 했는데 아마도 프렌치 쿼터의 음습하고 우울한 분위기에서 비롯된 것이 아닐까.
프렌치 쿼터에서 포크너는 ‘잃어버린 세대’라고 불리는 문인들과 함께 문학적 상실감을 작품 속에 녹여냈다. 결국, 포크너는 소설을 쓰는 과정에서 비로소 글쓰기에 대한 즐거움을 깨달았고, 그의 세 번째 장편 소설인 [흙 속의 깃발]을 셔우드 앤더슨에게 헌정하며 감사한 마음을 표현했다.
서점 안에선 오래된 책 냄새와 새 책의 잉크 냄새가 섞여, 방문객을 압도한다. 그곳에서 포크너가 앉았던 의자도 보존되어 있다. 그는 어릴 적부터 책을 많이 읽었고, 독서광으로 만들어 학교 공부보다 독서에 더 열중하게 만들었다. 의자에 앉아 주위를 둘러보며, 포크너가 보았을 세상과 그가 느꼈을 문학적 영감을 상상해본다. 이 서점은 또한 신진 작가들을 발굴하며, 문학 창작 대회와 축제 등의 다양한 활동을 통해 문화와 문학을 지키고 있다.
서점 앞 골목에서는 음악과 예술이 함께 흐른다. 색소폰 소리가 골목을 채우고, 예술가들이 작품을 펼쳐 놓고 팔고 있다. 거리의 예술적 풍경 속에서, 포크너가 느꼈을 법한 혼돈과 아름다움이 교차하는 이 도시를 상상한다.
재즈의 에너지가 넘치는 가운데, 사람들은 각자의 방식으로 이 도시에서의 삶을 즐긴다. 천국과 지옥이 함께 어우러져 있는 곳, 과거와 현재가 얽히고, 예술과 음악이 살아 숨 쉰다.
<
이현숙 수필문학가협회 이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