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련 민원 지속적 증가
▶ 4개월 만에 943건 접수
▶ 주정부 대응, 효과 미지수

12일 LA 한인타운의 한 길가를 따라 노숙자들의 텐트가 줄지어 들어서 있다. [박상혁 기자]
LA 한인타운에서 노숙자 관련 민원이 폭증하고 있다. 시 당국이 정기적으로 텐트를 철거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민원은 오히려 늘어나는 역설적인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LA시 민원 접수 시스템 ‘MyLA311’에 따르면, 한인타운이 포함된 ‘윌셔센터-코리아타운’ 지역에서는 올해 1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총 943건의 노숙자 관련 민원이 접수됐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의 672건보다 약 40%나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LA 전체의 노숙자 민원 건수가 2만6,839건에서 2만4,024건으로 줄어든 것과 비교하면, 한인타운만 예외적으로 증가한 셈이다. 특히 한인타운은 지난 수년간 노숙자 민원이 꾸준히 늘어왔다.
2017년 1,288건이던 민원은 2019년 2,387건까지 늘었고, 팬데믹 기간에는 잠시 주춤했지만 이후 다시 상승해 지난해에는 역대 최고치인 2,731건을 기록했다. 올해도 4개월 만에 943건이 집계돼 또다시 최고치를 경신할 가능성이 크다.
민원 내용은 인도나 공원에 설치된 텐트와 구조물로 인한 통행 방해, 쓰레기 및 오물 투기, 마약 사용과 같은 범죄 우려, 밤샘 취사와 음주로 인한 소란 등 다양하다. 한인 상권 밀집 지역인 웨스턴·베렌도·놀만디 일대는 사실상 ‘노숙자 캠프’로 변모하면서 상인들은 손님 감소와 환경 악화를 호소하고 있다.
일부 주민은 “밤이면 텐트 근처에서 고성이 오가고, 아침엔 길바닥에 인분이 보인다”며 이주까지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학교나 버스 정류장 주변에서 아이들과 노숙자들이 마주치는 상황도 빈번해지며 학부모들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아이 혼자 학교를 등하교 하는 게 무서울 정도”라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전문가들은 최근 민원 급증 배경에 대해, 장기화된 문제에 대한 주민들의 피로 누적, 과거 묵인하던 상황에 대한 적극적 신고 전환, 그리고 LA시의 311 시스템 개편으로 인한 접근성 향상 등을 복합적 원인으로 분석하고 있다. 특히 최근 다운타운, 맥아더파크 등 타 지역 노숙자 단속 강화로 인해 상대적으로 규제가 느슨한 한인타운으로 노숙자들이 이동한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상황 속에 개빈 뉴섬 캘리포니아 주지사는 최근 지방정부에 33억 달러 규모의 노숙자 대응 예산 지원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해 주민 발의안 1(Proposition 1)을 통해 조성된 기금으로, 각 시정부의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응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다. 뉴섬 주지사는 “거리에서 사람들이 죽게 내버려두는 것은 결코 자비로운 일이 아니다”라며 인도적 차원의 접근도 강조했다.
또한 주정부는 각 지방정부가 참고할 수 있도록 텐트 철거 전 최소 48시간 사전 고지, 셸터 제공 노력, 통행 방해 캠프 금지, 소지품 안전 보관 등 구체적 가이드라인도 제시했다. 하지만 이러한 조치가 실제 한인타운의 민원 감소나 생활환경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한인사회에서는 보다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주민들은 단순한 철거 작업보다는 정신건강 치료, 주거 지원, 지역사회 연계 서비스 강화 등 근본적인 해결책이 뒤따라야 한다고 지적한다.
<
한형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