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워런 버핏 은퇴 발표
▶ 가치주 장기보유 철학
▶ 껌 팔아 10대부터 투자
▶ “자산 99% 기부할 것”

워런 버핏이 올해 연례 주총에서 은퇴를 발표했다. 그는 은퇴 시점으로 나이 95세가 된다. 2024년 버크셔 주총에 참석한 워런 버핏의 모습. [로이터]
미국을 대표하는 전설적인 투자자인 워런 버핏(94) 버크셔 해서웨이(이하 버크셔)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가 지난 60년간 이끌어온 버크셔에서 올해 말 은퇴한다고 발표했다.
버핏 회장은 3일 브래스카주 오마하에서 열린 버크셔의 60번째 연례 주주총회에서 은퇴 계획을 밝혀 주주들을 놀라게 했다. 4일 이사회에서 그레그 에이블 버크셔 비보험 부문 부회장이 올해 말부터 최고경영자 자리에 오른다. 버핏 회장은 2021년 에이블 부회장을 후계자로 지명하고 회사의 비보험 사업 운영을 맡겼다. 그러나 그동안 버핏 회장은 은퇴할 계획이 없다고 말해왔기에 그의 사후에야 에이블 부회장이 CEO를 맡을 것으로 예상됐었다.
‘투자의 달인’ 버핏 회장의 생애 첫 주식 투자는 11세 때였다. 2차 세계대전이 진행 중이었던 1942년 3월 정유회사 시티스 서비스의 주식이 반토막이 나자 아버지에게 부탁해 3주를 매입했다. 주당 38.25달러에 산 주식이 4개월 후 40달러로 오르자 버핏은 주식을 매각해 5.25달러의 수익을 기록했다.
버핏은 연방하원에서 4선 의원을 한 아버지 밑에서 자랐지만, 투자를 하는 과정에서 부모의 도움을 받지 않았다. 그는 7세 때 공립도서관에서 빌린 ‘1,000달러를 모으는 1,000가지 방법’이라는 책을 읽은 뒤 동네에서 코카콜라와 껌, 잡지를 방문판매하면서 돈을 모았다. 또한 할아버지가 운영하던 잡화점에서 일을 했고, 신문도 배달했다. 14세 때 첫 부동산 투자를 했을 때 사용한 1,200달러도 이렇게 스스로 모은 자금이었다.
버핏은 고등학교 졸업 후 곧바로 사업에 뛰어들기를 바랐지만, 아버지의 반대로 펜실베이니아대에 입학한 뒤 고향인 네브래스카대로 옮겨 경영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 1950년대에는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 재학 당시 은사이자, ‘가치투자의 아버지’로 불리는 벤저민 그레이엄의 투자회사에서 애널리스트로 일하다가 독립했다.
버핏은 기업의 내재가치에 기반해 주식을 선택하고 장기적으로 보유하는 가치투자 전략으로 자산을 불려 나갔다. 40대 초반에 백만장자가 된 버핏은 직물회사였던 버크셔 해서웨이의 지분을 사들이기 시작했다. 기업의 내재가치를 계산하면 주당 19달러는 돼야 하지만, 실제 주가는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이유에서였다.
결국 버핏은 버크셔 해서웨이를 인수했고, 에너지와 은행, 항공, 식품 등 실물 경제와 관련한 기업에 집중적으로 투자하면서 세계에서 손에 꼽히는 억만장자가 됐다. 1,682억달러의 자산을 지닌 버핏은 경제전문매체 포브스가 집계하는 갑부 순위 5위에 이름을 올렸다.
다만 그는 다른 갑부들과 달리 소박함을 추구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고가의 미술품을 수집하거나 화려한 저택을 소유하지도 않았다. 그는 1958년에 3만1,500달러에 구입한 오마하의 조용한 주택에서 여전히 거주하고 있다.
식습관도 평범한 중산층과 크게 다르지 않다. 주 3회 이상 맥도널드 치킨너겟을 먹고, 감자칩을 간식으로 즐긴다. 또한 하루 평균 5캔의 코카콜라를 마신다. 버핏은 지난 2013년 CBS 인터뷰에서 “화려한 옷도, 비싼 음식도 필요하지 않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억만장자들이 세금을 더 많이 내야 한다’는 것이 버핏의 지론이다. 그는 자기 재산 99%를 자선사업에 기부하겠다는 뜻을 밝힌 그는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와 함께 다른 억만장자들을 상대로도 기부 운동을 벌이고 있다. 두 번 결혼한 버핏은 세 자녀를 뒀다.
한편 버크셔의 주총에는 ‘오마하의 현인’으로 불리는 버핏의 투자 철학과 생각을 들으려는 투자자들이 매년 몰린다.
<연합>